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운영 현황과 발전을 위한 함의 -비협약대학교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Military Management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General University: Based on the University of Non-Conven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8
38P 미리보기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운영 현황과 발전을 위한 함의 -비협약대학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군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군사문화연구 / 32권 / 64 ~ 101페이지
    · 저자명 : 김용주, 김국현

    초록

    2004년 일반대학교에 군사학과가 처음 개설된 이후, 기존의 사관학교, ROTC, 학사장교로 육군 장교의 수급을 담당하던 것에서, 군사학과가 새로이 한 축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그 설치목적을 상당부분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신생학문인 군사학의 학문적 위상 정립에 대한 연구와 논란 속에서도 다수의 일반대학교에서 군사학과를 개설하여 운영 중인바, 이는 군사학이 이미 교육제도권 내에 속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으로서의 군사학의 자리매김과 군사학과의 설치를 연혁 위주로 살펴보고, 일반대학교의 군사학과 운영 현황을 검토한 후, 비협약대학교 군사학과 발전을 위한 함의 순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는 군사학이 “사회과학”으로 분류되어 있고 군사학이 공식적 학문으로 인정되어 학위를 수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학의 고유성・정체성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따라서 군사학의 개념, 대상 및 연구범위에 대한 심도있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대학교의 군사학과 설치 유형은, 육군본부와 일반대학교 간 협약을 통하여 군사학과에 합격하면 졸업 시 임관이 보장되는 유형, 역시 육군본부와 일반대학교 간 협약을 통하여 군 장학생 선발 간 가점을 받고 합격 시 장교로 임관하는 유형, 이와는 달리 육군본부와 협약을 맺지 않은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학생이 군 장학생 선발시험을 거쳐 합격 시 장교로 임관하는 유형이 있다. 이 중 비협약대학교일수록 신입생 충원 및 장교 임관에 있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교과과정 편성을 보면, 최초 육군사관학교 교과과정을 모범(模範)으로 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교과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는바, 군사학의 다(多)학문성, 종합 학문성, 융・복합성을 고려하더라도 너무 많은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제 육군의 핵심가치를 구현하는 유능한 장교 양성에 적합한 교과과정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또한 전공교수 편성도 어느 한 전공에 편중되기보다는 군사학 분야의 다양한 전공과목을 담당할 수 있는 교수가 포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군사학과 학생들에게 다양한 병영・병과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어야 하고, 다양한 비교과 과목을 통해 군사 전문성뿐만 아니라 장교로서 인성 함양을 위한 정책지원, 그리고 애정 어린 관심을 갖고 교육과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능한 장교, 군사전문가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는 군사학과 운영의 성패(成敗)는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것임을 명심하고, 일반대학교의 강점과 경쟁 우위요소를 발굴하여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군이 요구하는 장교상에 부합된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도약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department at a general university in 2004, the military department has achieved much of its purpose in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pillar, from being in charge of the supply and demand of army officers as military academies, ROTCs, and bachelor’s officer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many general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military departments despite the research and controversy over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tatus of military science, a fledgling academic, which is already under the educational system.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science as an academic and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departments, reviewed the military and operational status of general universities,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on-agreement universities. This results in the following studies.
    First, controversy over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military science is still ongoing, although military science is classified as “social science”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military science is officially recognized as a study. Therefore, in-depth and continuous research into the concepts, subjects, and scope of military science is needed.
    Second, the type of military department installation of a general university is guaranteed if it passes the military department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army headquarters and the general university. Among them, non-agreement universities are having relatively difficulties in recruiting new students and commissioning officers, but they will b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various and active support policies.
    Third, the military curriculum of a general university consists of too many subjects, even considering the multidisciplinary, general academic, convergence, and convergence of military science, which is the same or similar curriculum. It must now be reorganised into a curriculum suitable for training competent officers that embodies the core values of the Army. In addition, rather than focusing on one major, efforts should be made to have professors who can take charge of various majors in the field of military science.
    Fourth, military studen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various barracks and soldiers, and various comparative subjects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for their character development as officers as well as military expertise, and education and guidance with loving interest.
    Keep in mind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military operations aimed at fostering competent officers and military experts i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and shall be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trains officers required by the military by discovering strengths and competitive advant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군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