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前期 對明 御前通事 (A Study on the T'ongsa(通事) of the King Front in the Period of Early Chosu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06
26P 미리보기
朝鮮前期 對明 御前通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주사학 / 29호 / 27 ~ 52페이지
    · 저자명 : 박성주

    초록

    通事는 직능상 使行에 차출되어 주로 통역의 임무를 갖는 이들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사역원 소속의 譯官이 곧 통사가 아니라 이들 중 사행에 참여하여 통역의 임무를 갖는 이들이 통사였다.
    또한 통사는 對明 使行에 참여하지 않고도 出來 明使의 접대 때에 통역을 위해 차임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통사는 사역원 출신 譯官 뿐만 아니라 文科 出身의 文官이 차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문과 출신의 文官이 통사로 차출되는 경우는 御前通事로 차임되었다.
    그런데 조선초기에는 급박한 외교현안 문제 등으로 출래한 명사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문과 출신의 인물을 어전통사로 차임되는 경우보다는 사역원 출신의 역관이 주로 차임되었다. 하지만 조선초기를 지나 중기로 접어들면서 문과 출신의 인물이 어전통사로 차임되는 빈도가 잦아진다.
    이러한 이유는 첫째, 왕조초기인 태조·태종대에는 제도상으로 한어와 이문을 專掌하는 부서를 독립시키고, 한편으로 漢吏科를 실시하는 등 漢語와 吏文의 학습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대명 외교문서의 작성과 通解에 필수적인 漢吏學이 성행하여 외교문서를 通解하는 인재가 많았기 때문이다.
    둘째, 세종·성종·중종대에 이르러 吏文學이 독립적인 교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또한 명과의 표·전문 등의 외교문서 작성이나, 명의 조서나 칙서 등을 정확히 通解하기 위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명측에 자제들의 입학을 청원하였지만, 이 또한 좌절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자제입학의 대안으로 ‘講肄質正官’을 파견하는 등 여러 가지 장려책이 강구되기는 하였지만 별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였기 때문이다.
    넷째, 조선초기 통사의 활동에 주목했던 국왕의 기대에 부응하였던 것에 비해 통사가 점차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다섯째, 통사들의 致富와 신분상의 문제로 사대부의 통사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면서 정치적·사회적 부담을 국왕스스로 맡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섯째, 조선초기에 통사로 활발한 활동을 하던 이들 중 중국어에 능통했던 귀화인이 점차 소멸되었기 때문이다.
    일곱째, 중종대 이후 ‘宗系문제’가 再點火되고 이의 辨誣문제로 明使 접대에 더 신중을 기하기 위해 문과 출신의 문관을 어전통사로 차임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조선초기에는 통사 출신과 문관 출신이 비슷한 비율로 어전통사로 차임되다가, 조선중기로 접어들면서 어전통사는 점차 문과 출신의 문신에서 차임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t was drawn to the award functions of an envoy T'ongsa(通事) mainly refer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mission. In other words, Sayeokwon(司譯院) Yeokgwan(译官) not the T'ongsay soon to participat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ission was the the T'ongsa.
    The T'ongsa with the Ming dynasty an envoy also participate in the from Ming dynasty mission without an interpreter at the time of the reception was to be chimes. The T'ongsa, however, of that from the Sayeokwon Yeokgwan ex-state examination, as well as the deployment of the cases were civil servants. Drawn from the statement is the T'ongsa civil servants the chimes as was the T'ongsa of the king front.
    The initial problem of diplomatic issues, but due to the imminent from mission despite statements from many of the celebrities who are chimes with the king front, rather than the T'ongsa Sayeokwon from Yeokgwan was mainly chimes. Or in the middle of the stage, but initial reaction to the statement from the chimes of the figures that the frequency this is the T'ongsa of the king front.
    For these reasons, on the Early dynasty, o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Leemun(吏文) attributable to King Taejo(太祖), Taejong(太宗) era, solely dedicated the system to an independent department, and that while conducting o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Leemun(吏文) learning and actively encourage Leemun and diplomatic with Ming dynasty essential to the creation of the document and complete interpretation o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Leemun diplomatic documents and the two became rampant that many people said.
    Second, to reach King Sejong, Seongjong, Jungjong of two independent on the Leemun(吏文) excluded from education. In addition, the table and create a professional and diplomatic documents, and people and exactly complete interpretation of Chikseo(勅書) or Joseo(詔書) whenever the opportunity they get to admission of the petition, the Ming dynasty restraint. However, this is also because of frustration.
    Third, the discipline as an alternative to admission 'Administration Questions' incentives dispatch and two different measures can be successful, but they were ineffective.
    Fourth, gradually, the king's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initial the T'ongsa expectations than carriers can not meet expectations.
    Fifth, the T'ongsa accumulated wealth and identification of problems as the low awareness of Sadaebu(士大夫) the T'ongsa of political and social pressure to take because the king himself.
    Sixth, as the T'ongsa active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naturalization of these is fluent in Chinese because of this gradually.
    Seventh, since the King Jungjong era 'The King's bloodline problem' is that its light again to pay more attention to getting hosting from a statement to the chimes of the civil service, because the T'ongsa of the king front.
    Initially, due to this reason the T'ongsa from the Chosun dynasty, and a similar ratio of civil servants to chimes be going the T'ongsa of the king front. Then, fold in the middle of the middle stage of the Chosun dynasty, gradually the T'ongsa of the king front was chimes in the tatt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