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the Regal Authority in the Middle Ages of Silla Dynasty and Esoteric Buddhism(密敎))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49호 / 265 ~ 292페이지
    · 저자명 : 이세호

    초록

    7세기 중엽 선덕여왕대부터 국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한 밀교는 이후 신라 중대에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왕권과 관련을 맺으며 발전하였다. 文武王代의 明朗이 『灌頂經』 과 『金光明經』에 바탕을 둔 文豆婁法으로 당나라 군사를 격퇴한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통일 이후의 밀교승으로는 惠通이 있다. 혜통은 孝昭王代 國師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神文王과 효소왕에게 이상적인 정치를 권고하는 국가 치국책을 제시하였고, 동시에 중앙집권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강력한 呪力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8세기 중반, 寶川은 오대산 신앙을 체계화하였는데, 이 오대산 신앙은 밀교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보천이 오대산에서 수행할 당시, 신라는 중앙집권화를 추구하였지만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기록들은 당시 신라가 불안정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聖德王代에는 大祚榮이 渤海를 건국하였으며, 일본이 신라를 공격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 역시 신라에게 위협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보천은 불안정한 신라를 안정시키려고 하였을 것이며, 그 방법으로 현세 이익적이며 護國鎭護의 성격이 강한 밀교 사상을 바탕으로 오대산 신앙을 체계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밀교는 신라 중대 왕실을 정신적으로 뒷받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Esoteric Buddhism is estimated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Shilla around the late 6th century. It was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in the middle 7th century that esoteric Buddhism was actively accepted by the Shilla society and began to take important roles in the national level. Queen Seondeok had to deal with the pestering attacks of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and was questioned for her qualification as the king since she was female. After searching for ways to stabilize the kingdom and secure her royal authority, she finally chose esoteric Buddhism. A Buddhist monk during her reign, Ahn Hong(安弘) suggested an idea of building a nine-story pagoda at Hwangryong Buddhist Temple(皇龍寺九層塔) based on Chongmyoinyeonsabangshinjugyeong(塚墓因緣四方神呪經) of Gwanjeonggyeong Book(灌頂經) 6, which explains the sorcery power of a stupa to protect the nation. He also made Shilla the country of Buddhism protected by the Four Devas(四天王) based on the Sacheonwangpum(四天王品) of Geumgwangmyeonggyeong(金光明經).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王), Myeong Rang(明朗) defeated the troops of Tang Dynasty(唐) with the Munduru Law(文豆婁法), which was based on Gwanjeonggyeong Book 7, Gwanjeongbokmabongindaeshinjugyeong(灌頂伏魔封印大神呪經) and Geumgwangmyeonggyeong(金光明經).
    An esoteric Buddhist monk Hye Tong(惠通) after unifica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esoteric Buddhist monks before him. He was active after the three kingdoms were unified, when the Buddhist monks were asked to provide policies to better rule the nation rather than the ideas to protect the nation and defeat enemies. He was appointed as the most reverend priest(國師) by King Shinmun(神文王) and Hyoso(孝昭王), who were trying to stabilize the nation after unification, because he proposed ideal politics for their efforts.
    In the middle 8th century, Bo Cheon(寶川) systemized the faith of Mt. Odae, being heavily influenced by esoteric Buddhism. When he was meditating and practicing in the mountain, Shilla was desperately trying to centralize the power. But the records of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 all indicate that it was actually unstabl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 Dae Jo-yeong(大祚榮) founded Balhae(渤海) and Japan(日本) invaded Shilla. Those events happening outside the borders must have been threats to Shilla. Thus Bo Cheon tried to stabilize unstable Shilla and systemized the faith of Mt. Odae based on the thoughts of esoteric Buddhism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tendency to protect the nation and defeat enemies.
    Those facts indicate that esoteric Buddhism was in constant use by Shilla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and stabilizing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