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문대할망과 여성신화 (Seolmundaehalmang and Myth for wom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02
36P 미리보기
설문대할망과 여성신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42호 / 101 ~ 136페이지
    · 저자명 : 허남춘

    초록

    제주에는 창세신화가 여러 심방들의 무가 속에 남아 있다. <천지왕본풀이>가 대표적인데, 창세의 흔적을 지니고 있는 설문대할망 설화도 이와 함께 주목해야 한다. 제주도의 국토를 형성한 이야기로 거구의 여신이 엄청나게 많은 음식을 먹으며, 엄청난 양을 배설하고, 큰 옷을 지어달라고 하는 이야기가 전한다.
    설문대할망은 거대한 몸으로 국토를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거대한 몸으로 하늘을 들어 올려 세상을 만든 창세신과 대비된다. 단순하게 지형을 형성하였다고도 할 수 있지만, 신화체계를 본다면 천지분리와 국토생성은 모두 창세신화의 반열에 든다고 하겠다. 지형전설처럼 보이는 설화에도 섬과 오름의 창조 모티프가 담겨 있어 원래 설문대할망 설화가 지니고 있었던 창세신화적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중국과 일본의 창세신화와 비교하여 설문대할망 설화가 지닌 창세신화적 면모를 찾았다. 중국 여와와 무리우자 여신과 대비를 통해 설문대할망이 하늘과 땅을 바느질하여 창조한 여신과 동격임을 밝혔다. 거인의 배설물과 편력에 의해 지형이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는 일본의 ‘다이다라봇치’ 거인설화와 유사하여, 논문의 중심에 한국과 일본의 거인 모티프에 담긴 창세신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원시와 고대의 신화가 고대 남성 중심의 신화체계로 재편된 우리나라 대부분의 신화에는 여성 신화가 빈약한 편이다. 그런데 만 년 전부터 오천 년 전까지 모계중심사회가 전개될 당시의 신화체계를 지니고 있는 제주도에는 여성 신화가 풍부하다. 그 여주인공들의 활약 앞에 거대하고 강력한 여신 설문대할망이 있었다.
    이런 여성신이 역사적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모하는 과정도 살폈다. 첫째, 여성 중심 사회가 남성 중심 사회로 바뀌면서, 여성영웅은 사라지거나 죽고 남성영웅이 등장하는 현상을 찾았다. 둘째, 여성 창세신이 남성 배우자를 만나고 남성신의 배우자로서의 위치를 갖게 되고 이어서 아이를 낳는 어머니 여성신의 면모가 드러난다. 셋째, 거대신이 거인신으로 바뀌고 거인으로 바뀐 후 인간 크기와 비슷한 신으로 점점 왜소해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야생적이고 반인반수의 신이 점차 부드럽고 자애로운 여성으로 변모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그러면서 여성신 이야기는 왜소해지고 파편화하면서 전설로 바뀌는 경로를 따라간다. 그래서 설문대할망 이야기는 전설로 남게 된다.

    영어초록

    Seolmundaehalmang was in charge of a duty to form a country of the huge body. She was compared with Creation God who prepared for distance of the Heaven and the Earth. It may be said that all the nature separation and the country generation enter the group line of the Creation myth. Because the creation motif of the mountain and island were piled in the folktale which looked like topography legend, I was able to find a Creation mythical characteristic.
    So the article looked for the Creation mythical characteristic of the Seolmundaehalmang folktale in comparison with China and Japanese Creation myth. I compared it with Yeowa(女媧) and Muriuza(姆六甲) goddess, and clarified that was Seolmundaehalmang folktale equal with a Chinese goddess as a creation goddess. The folktale that the topography was settled for by excrement and the journey of the giant looks just like Japanese Daldaravochi(ダイダラボッチ). So I investigated with a Creation divine characteristic included in a giant motif through comparison with the giant folktale called Japanese Daldaravochi.
    However, I understood the process when such Creation God changed into by a change of the historic time. While the first, female oriented society turned into the male oriented society, I looked for the phenomenon that the woman hero was dead that he disappeared, and a male hero appeared. Second, woman Creation God meet a male spouse and come to have a dependent position. In other words, the duty of wife and mother underwent a complete change in emphasized one from independent Goddess. After third, huge God turning into giant God, and having turned into a giant, I was seen in God who resembled human being size by the phenomenon that dwarfness did more and more. Fourth, I was saw the phenomenon that God who was like a wild animal changed into in tender women.
    The myth shows a method to return to the paradise which I have forgotten. The myth will carry out us who were polluted with a material to the world of the mind that is purity. The myth lets you realize the world where nature and all things coexist with a human being and will have a clean soul. I will come to realize that it is switch time of Civilization to go into the world of the woman from the world of a man figh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