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20대 국회 평가와 제21대 국회의 나아갈 방향: 의회주의의 관점에서 (What Lessons Can Be Taken from the 20th National Assembl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8
41P 미리보기
제20대 국회 평가와 제21대 국회의 나아갈 방향: 의회주의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입법학연구 / 17권 / 2호 / 5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철

    초록

    87헌법체제는 지난한 한국 민주화의 불완전한 성취로서 위기와 발전을 거듭해 오면서 독자적 특징을 발현하여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외국 헌정모델을 답습하기에만 급급했던 한국 헌정은 한국형 민주공화국의 골간을 유지하면서 하위 정치제도와 정치사회 문화의 개혁으로 위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그 충실도를 높여갈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이 필요조건이 법치주의와 대의민주주의로부터 파생되는 입법권력 구성원리인 의회주의의 성숙이며, 이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의회개혁은 한국형 민주공화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필수과제가 되었다.
    2020년 5월 말로 임기만료된 제20대 국회는 광복 이후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내었으나 그 동력이었던 촛불혁명의 시민혁명적 계기를 국가통합과 발전의 과제로 온전히 전환하지 못하고 퇴행적 대결정치의 상처를 심화시켰다. 4.15 총선에서 확인되는 주권자 국민의 평가는 정권심판론보다 야당심판론의 성격을 띰으로써 의회개혁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한국형 민주공화체제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필요조건인 의회개혁은 민주공화제의 필수요건인 의회주의의 원칙을 기준으로 과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미래의 과제를 설정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런 취지에서 제20대 국회를 평가하고 제21대 국회가 수행해야할 의회개혁의 과제를 의회주의의 관점에서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평가와 전망의 기준인 의회주의의 개념과 요소를 정리한다. 다음으로 의회주의의 원리적 요소를 기준으로 제20대 국회를 의회구성의 민주적 대표성 강화, 이성적인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의정과정개혁, 의회독립성의 기초가 되는 자정활동의 강화, 입법활동의 효과성과 민주적 대응성의 강화, 국정통제제도의 효율화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제21대 국회의 과제로 제시한다. 대표적으로 국민대표성을 강화하는 선거법제의 개혁과 의원정수의 확대, 입법과정 효율성과 효과성의 증대를 위한 상시 국회 체제의 구축이나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폐지, 국회윤리위원회의 독립성과 민주성 강화, 국정조사 등 국정통제에서의 야당의 역할 강화, 인사청문제의 개선 등이다. 나아가 경제사회개혁이나 검찰개혁 등 일반적 개혁 또한 국회가 국민대표기관으로서 민주공화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데 필수적인 과제이다.

    영어초록

    Evolving along with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Constitutional System of 1987 achieves a unique identity featuring both effectiveness and unstability, what may be called the Korean Model of Democratic Republic. This model is now facing necessary reforms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culture in order to manage the repeated crisis and to enhance efficiency as well as stability. Legislative reform is definitely one of these required reforms. For that purpose, past of the legislature must be evaluated and its future need to be prospected. The criteria against which these tasks of evaluation and prospect can be taken is principal elements of parliamentarism: popular legitimacy of the legislature, open and rational deliberation of national affairs under the principle of majority rule, and effective exercise of legislative and controlling powers.
    This essay aims to tackle the tasks of assessing the past legislature and prospecting the future. The 20th National Assembly can be remembered as the first legislature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to impeach the president who dared to abuse and misuse political powers. However, it is also assessed as the worst legislature in post-democratization period because it seems to fail to keep the driving force of fundamental reform for national integration derived from the civil revolutionary candlelight vigils from 2016 to 2017 and to respond to rapidly changing society in the direction of deepening social conflicts and inequality. The landslide victory of the ruling part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in 2020 general election may be an evidence of people’s bad assessment of the first opposition party, the United Future Party, that has been blamed for its timid attitude above all about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 Hye and reckless resistance to reforms.
    The reform agenda that can be recognized from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past legislature from the standpoints of the evolution of the Korean Model of Democratic Republic in general and consolidation of parliamentarism in particular are diverse and comprehensive. First, electoral reform is desperately requir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popular representation. Second, legislative process need to be rationalized to avoid repeated deadlocks between two major parties and the powers and composition of committees as the hotspot of legislative process must be realigned. For example, the review power of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need to be abolished. Third, to strike the balance of negotiating powers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the controlling powers like the legislative hearing and investigation must be strengthened because the rationalization of legislative process may undermine the leverage of the opposition parties as opposed to the majority. In addition, reforms of personnel hearings process and parliamentary standards affairs need to be carried out to enhance popular confidence in the legislature and to avoid politicization of legislative process. The success of these legislative reforms together with other political and judicial reforms will consolid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odel of Democratic Re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