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오 Mao’ 이미지와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사회주의 -1990년대 신생대 작가를 중심으로 (Mao Image and Post-modernism/Post-Social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1.08
30P 미리보기
‘마오 Mao’ 이미지와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사회주의 -1990년대 신생대 작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중소연구 / 35권 / 2호 / 77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이 논문은 1990년 이후 현대 중국에서 마오저둥의 이미지가 소비되는 현상과 문화적 맥락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마오이미지를 산출하는 그림들은 기본적으로 마오가 살아있던 시기의 마오의 정치철학에 의해 형성되었던 미술작품을 원용으로 삼는다. 하지만 마오이미지를 유통시키는 작가들은 대부분 마오의 생전시기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마오의 정치적 역량이나 혹은 당시의 문화를 기억한다기보다는 단순히 그러한 영웅을 표면적으로 소비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포스트마오시기의 미술작품들은 대부분 ‘정치적 팝’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도의 마오초상에 대한 원용이 있다.
    첫째, 마오 생전의 시기 횡행하던 마오의 초상을 원본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그의 영웅성과 숭배에 대해 직접적으로 의문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마오는 적어도 마오시기 규정한 최고의 영웅인 노농병 가운데 가장 위대한 영웅으로서 자리매김한다. 하지만 이 영웅성은 원본 그림이 엉뚱한 다른 상황에 놓이게 됨으로써 우상성을 비웃게 된다. 또 마오의 하위에 있는 노농병의 영웅성은 서양의 유명브랜드와 병침됨으로써 사회주의 시기의‘인민’이 아닌 포스트사회주의 시기의 ‘대중’으로서의 사회적 위치에 의문을 던진다. 둘째, 마오생전에 문예정책에 의거한 형식 그 자체에 대한 희화화가 있다. 가령 민간미술 방식인 달력그림, 우표, 완장등에 쓰였던 인민들의 삶속의 쓰였던 형식들이 작품 속에 그대로 인용됨으로써 마오시기의 인민문예형식을 비웃는다. 마오가 원했던 긍정적 인물에 대한 밝은 이미지로서 채택된 색감들과 인민들의 민속적 양식은 그 자체로 촌스롭게 표현됨으로써 현재 중국인들의 생활 속에 ‘타자’로 존재하게 만든다. 셋째, 마오의 문예정책을 거스르는 이미지들이 있다. 여기에서 마오는 그림 속에서 완전히 사라지기도 하고 혹은 영웅이 아닌 일반인의 모습으로 조롱당하게 된다. 마오는 어린이와 같이 등치되기도 하고 혹은 존재감을 없앰으로서 마오에 대한 유희를 생산한다. 이러한 조롱투의 마오이미지들은 마오를 가장 저급하게 만든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들 마오의 우상성을 중심으로 하는 그림들에 대한 이러한 마오이미지 생산에는 다음과 같은 현시점의 문화적 맥락을 갖게 된다. 첫째, 이 시기 마오이미지를 산출하는 작가들은 마오시기의 정치를 위해 존재하던 예술관념을 거부함으로써 포스트마오이즘을 드러낸다. 그들은 마오시기의 가장 유행한 예술 양식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혹은 그것을 완전히 거부하는 방식을 통해 마오시기 예술 자체를 거부하고 조롱한다. 둘째, 마오이미지 산출은 이중적인 유통방식을 지닌다. 일부는 마오에 대한 기억을 소환하면서 동시에 일부는 그러한 기억을 거부한다. 말하자면 마오이미지는 그것을 사고 팔려고 하는 관람객들의 우연성에 의해 새로운 맥락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오이미지는 포스트사회주의에서 드러나는 자본주의적 소비형태를 이루고 대중문화의 맥을 형성한다. 셋째, 이러한 대중문화형성의 맥락이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사회주의의 어느 한 지점에 속하지 않는 특이한 성질 속에 있다는 점이다. 중요한 포인트는 중국의 포스트사회주의가 국가라고 하는 장치의 묵인속에 얼개가 갖추어져 가고 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이러한 마오이미지의 유통은 단순히 표면적으로 보이는 중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현상을 규명할 수 없게 만든다. 왜냐하면 그것은 결국 중국국가가 여전히 마오의 사회주의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며, 여전히 그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표면은 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대다수의 군중들에 의해 소비되고 있다. 이것이 새로운 중국의 포스트사회주의의 이행과정중 하나인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for the consumption of Maozedong Image in contemporary China since 1990 and its cultural context. The pictures which bring about Mao Image basically imitate fine arts which were produced by Mao’s political philosophy during his era. However, most of the artists who are reproducing Mao Image are just superficial consumers of hero image of Mao rather than memorizer of Mao’s political power and culture, because they did not experience the Mao’s era.
    The art works of post-Mao is called ‘Political Pop’ where we can find three types of quotations of Mao’ portrait. First type of ‘Political Pop’ uses Mao’s portrait as original to cast doubts to Mao’s heroism. Heroism of Mao, being described as the greatest hero of all Labor Army, is mocked by the original painting being laid out on a very different background. Heroism of low-profile Labor Army, being deployed side by side with Western name brands, becomes post-modern ‘public’ rather than ‘people’ of socialism. Second type is making fun of the forms driven by cultural policy of Mao era. For example, paintings of calendars, stamps or armband are quoted in the art works of ‘Political Pop’. The colors which was selected as an optimistic image making by Mao and folklore-style forms are described as a low-grade or inferior stuff, making them ‘the others’ to contemporary Chinese. Third type is all against Mao’s cultural policy. Sometimes Mao is disappeared in the paintings of Mao. Sometimes Mao is expressed as an ordinary person not as a hero. Mao, being equal to children or being disappeared, becomes mockery which make Mao Image inferior most.
    In general, these art works convey following cultural implications to contemporarian. First, artists reproducing Mao Image are characterized as post-Maoism since they are against the politics-oriented arts during Mao authority. They laugh at the culture of Mao by using or by neglecting completely those works which dominated in the Mao era. Second, Reproducing Mao Image is two-folded. It reminds of memory of Mao on the one hand, It rejects memory of Mao on the other hand. Mao Image is by accident being re-shaped by people who are eager to buy and sell them. It gives birth to the context of public culture and capitalistic consumption which appears in the post-socialism society. Third, the context of this public culture is peculiar in that it does not belong to either post-socialism or post-modernism. The thing is China’s post-socialism is making shape under the acquiescence of the authority. The distribution of Mao Image doesn’t allow us to certify the post-modern phenomenon in China. This is because Chinese government still remembers and needs Mao. However, Mao Image is being consumed by public who do not need Mao any more. This is the transition of Chinese post-soc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