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正祖代) 승지직(承旨職) 운영과 승정원(承政院)의 정비 (The Actual Personnel Management Of Seungjijik(承旨職) In Jeongjo Reign(1776~1800) And The Measures of Seungjeongwon(承政院))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9
51P 미리보기
정조대(正祖代) 승지직(承旨職) 운영과 승정원(承政院)의 정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94호 / 269 ~ 319페이지
    · 저자명 : 서민주

    초록

    본고는 왕명의 출납을 관장했던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인 승지직의 인사 운영을 18세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후 정조가 추진했던 승정원 정비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였다. 명종대 확정된 승지 의망의 규정은 조선후기까지 유지되었는데, 영조대 이래 국왕의 중비로 인한 승지 제수가 빈번해지면서 의망이 문란해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의망과 체차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망 인원이 증가할수록 승지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곧 승지의 업무 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정조는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즉위 직후부터 승정원의 정비를 단행하기 시작했다. 정비의 방향은 승지의 교체가 업무 효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향해 있었다.
    15세기 이래 승지의 의망은 인원 수의 제한 없이 후보 자격을 갖춘 관원을 모두 의망하는 長望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顯職을 거친 당상관과 資窮, 準職의 조건을 만족시킨 兩司의 亞長, 弘文館의 東壁이 승지의 망단자에 이름이 오를 수 있는 대상이었다. 실제 정조대 승지 망단자를 분석하여 규정과 비교한 결과, 국왕의 특별 제수를 제외하고 승지의 의망 범위는 해당 규정 내에서 유지되고 있었다. 그런데 영조 중반부터 왕명의 형태로 승지를 제수하는 상황이 빈번해짐에 따라 승지의 의망이 문란하다는 지적이 등장했고, 동시에 승지의 교체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 또한 나타났다. 이는 정조대에 점차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승지의 잦은 체차로 인한 업무의 혼잡이 예상되었다.
    대리 청정기 세손의 명령을 승정원이 주관하면서 이미 승정원의 실태를 경험했던 정조는 즉위 직후부터 승정원 정비를 단행해 나갔다. 먼저 영조대 좌차에 따라 분방이 확정된 ‘順房’으로 운영된 분방의 방식을 승지가 교체되지 않는 한 분방이 유지되는 ‘仍房’으로 수정하였다. 이는 영조대 후반부터 심화되어 온 승지 체차의 증가로 인해 승정원의 업무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고려한 선택이었다. 한편으로는 새롭게 승지에 임명된 관원이 업무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故事’를 편찬하여 직무 수행의 실수를 최소화하고자 의도하였다. 체차가 빈번하게 발생하더라도 국왕이 직접 승정원의 행정 처리 과정을 평가함으로써 승정원을 국왕의 감독 하에 두려는 노력도 동반되었다. 일련의 정비를 통해 정조 연간 승지의 체차 횟수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승정원은 운영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regula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personnel operation of Seungjis in Seungjeongwon in the late 18th Century. Seungjeongwon was the public office taking charge of receiving and delivering the king's commands in Joseon Dynasty, yet the efficient running of the office was no easy matter due to the frequent replacement of the Seungji. As a high-ranking officials, Seungji was selected by Jangmang(長望), which was a long list consisted of all qualified candidates. However as time goes by the number of candidates constantly increased and after the mid 18th century, the tendency became remarkable. King Jeongjo, as the successor to the throne, implemented a series of countermeasures to resolve this matter during his Reign. Jeongjo utilized Yingbang(仍房), which maintains the administrative division[分房] of their duties. When the Seungji was not replaced, Jeongjo asked him to compile a collection of regulations(rules) and practically use it as a guidanc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oversee state affairs by allowing Seungji to enter the royal council hall with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discuss it with Seungji. As a result, Jeongjo aimed to ensure Seungjeongwon to operate normally even in the situations where Seungji was frequently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