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동 하회마을 부용대(芙蓉臺) 일원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Vegetation Landscape and Management Methods of Buyongdae on Hahoe Village, Andong)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03
15P 미리보기
안동 하회마을 부용대(芙蓉臺) 일원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1권 / 1호 / 13 ~ 27페이지
    · 저자명 : 오현경, 노재현, 최영현

    초록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의 최적의 조망점이자 요처인 옥연정사와 겸암정사를 포함한 부용대 일원의 식물상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민속마을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포함된 부용대 일원의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동 부용대 일원의 전체식물상은 89과 217속 251종 1아종 38변종 11품종으로 총 3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부용대 일원의 대표적 식생은 소나무림이며, 겸암정사 주변은 굴참나무림, 부용대 하식애는 모감주나무림으로 각각 구분되었다. 전체식물상 중 희귀식물은 원지, 모감주나무 등 14분류군이, 특산식물은 병꽃나무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Ⅳ등급에 원지 등 4분류군, Ⅲ등급에 금털고사리, 애기석위 등 10분류군, Ⅰ등급에 시무나무, 묏대추 등 13분류군으로 총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석회암지대 지표식물은 금털고사리, 왕팽나무, 절국대, 더위지기 등 총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야생팬지, 붉은서나물 등 25분류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생태계교란식물인 가시박의 침입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귀화율(NR)은 8.3%이며, 도시화지수(UI)는 7.8%에 해당된다.
    부용대의 고유한 전통 식생으로서의 회복을 위해서는 소나무림 상층의 리기다소나무와 중층의 물오리나무 점진적인 간벌이 필요하며, 겸암정사 주변에서 발견된 가시박을 비롯한 귀화식물에 대한 점진적인 제거방법의 마련과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화천서원 주변에 의도적으로 도입된 관상 및 경작외래식물인 뚱딴지는 자생식물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 지역 희귀 및 특산식물인 원지는 현 자생지 보전,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확보 등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이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며, 부용대 하식애지형 특성을 잘 보여주는 모감주나무를 비롯하여 금털고사리, 절국대, 묏대추, 애기석위, 왕팽나무의 적극적 보존이 요망된다. 또한 갈모바위 부근에서 층길에 이르는 구간에 군락형태로 유지되는 등나무도 당분간 보호 및 관찰이 필요하며, 더불어 하식애 옥연정사에서 겸암정사에 이르는 층길의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교육적 활용을 위한 안내 해설판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flora and vascular plants area around Buyongdae where include optimum view point Okyeonjeongsa and Gyeomamjeongsa in Hahoe Village, Andong. Based on the findings, the aim of results was attempted to suggest the management plan of the vegetation area around Buyongdae which designated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and folk village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the following.
    All flora of this site, Buyongdae in Andong, were 301 taxa; 89 families, 217 genera, 251 species, 1 subspecies, 38 varieties and 11 forms. Vegetation of each of areas in site was classified Pinus densiflora as representative forest around Buyongdae, Quercus variabilis forest around Gyeomamjjeongsa and Koelreuteria paniculata forest in river cliff of Buyongdae. The 14 taxa(Polygala tenuifolia, Koelreuteria paniculata, and others) as the rare plants and the 7 taxa(Weigela subsessilis, and others) as endemic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 among the whole flora. The specific plants which is categorized to degre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ed as 32 taxa; degree Ⅳ was 4 species; Polygala tenuifolia, etc. and degree Ⅲ was 10 species;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Pyrrosia petiolosa, etc. and degree Ⅰ was 13 species; Hemiptelea davidii, Zizyphus jujuba var. jujuba, etc. Also, the 11 taxa were recorded in limestone area as the chamaephyte;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Celtis koraiensis, Siphonostegia chinensis, Artemisia gmelini, and others. The naturalized plants recorded as 25 taxa; Viola arvensis, Erechtites hieracifolia, etc. and invasion of Sicyos angulatus which is ecosystem disturbing plants. The naturalization rate(NR) was 8.3% and the urbanization index(UI) was 7.8% by field survey.
    For recovery of indigenous to traditional vegetation landscape in Buyongdae, Pinus rigida of upper-growth and Alnus sibirica of middle-growth need thinning. In addition, the site demands both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long-term monitering and gradual elimination method for the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Sicyos angulatus where found in Kyumamjeongsa. Particularly, intentional planting for decoration and cultivation around Hwachunseowon, Helianthus tuberosus must be substitute with the native plants. Meanwhile, Polygala tenuifolia is potently demanded preventing habitate, confirming additional habitate, seed securing and preservation of gene resource internally or externally. Koelreuteria paniculata; denoting feature of river cliff, including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Siphonostegia chinensis, Zizyphus jujuba var. jujuba, Pyrrosia petiolosa, and Celtis koraiensis, also need an assertive preservation. Futhermore,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located around Galmo rock to Chunggil course, remained by colonizing form, need preservation and observation for a while. Beside that, the information boards are required to educate visiting user about safe regulations on the narrow way in rock hi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