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업경대(業鏡臺)’ 명문분석과 도상학적 연구 (Inscription analysis and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on ‘Karma mirror stan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6
27P 미리보기
‘업경대(業鏡臺)’ 명문분석과 도상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6호 / 219 ~ 245페이지
    · 저자명 : 김창원

    초록

    고대로부터 거울은 주술의 신통력을 보여주는 상징물로 제작되어 왔다. 불교의식에 있어서도 경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식구로 거울이 제작되었으며, 불교미술의 여러 방면에서 표현되어 왔다. 전통사찰의 건축물이나 불단의 장엄물로 진설되기도 하고, 종교의례의 의식구로, 혹은 거울 그 자체가 경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소위 ‘업경대’로 명명되는 사찰유물의 도상연구와 명분분석을 통해 유물의 적합한 명칭과 용도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조선후기에 제작되어 학계에 보고된 60여점의 유물을 대상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고, 특히 명문이 있는 6점의 유물을 집중 분석하였다. 업경대(業鏡臺), 불영패(佛影牌), 명경대(明鏡臺), 경단(鏡壇)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불교 의식/의례와의 관련 연구없이 각각의 편의에 따라 명칭이 결정되어 전해지고 있다. 사찰의 모든 물품은 불교의식/의례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제작되어 발전해왔다. ‘업경대’ 역시 이러한 관계에서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동 유물의 용도를 의식과의 관계 속에서 규명하고, 그 기능과 역할에 따라 유물의 명칭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불교에서 거울과 관련된 논의에는 두 개의 각각 다른 신앙형태가 있다. 대표적으로 지장명부시왕신앙이다. 현재 ‘업경대’로 알려진 유물의 명칭은 이 명부신앙의 흐름 속에서 고착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명부신앙의 여러 의식관련 경전과 절차를 살펴보아도, 업경은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보해내지 못하고 있다. 단지 염라대왕의 지물이라는 회화적 모티프와 문학적 수사에 나타날 뿐이다. 또 다른 흐름은 밀교의 대경작법의 전통 속에서, 특히 조선 중기 준제신앙의 확산에 따라 경단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다. 본 연구는 이 두 번째 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유물의 명문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토대로 존상과 불교의식과의 관계 및 그 명칭의 적합성 문제를 중점으로 고찰하고, 그 기능과 형태에 대한 도상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대상유물과 불교의식과의 연관성에 근거하여 여러 의미있는 해석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조선후기에는 억불이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의식/의례 체계가 혼란되어 기존 의식절차가 유실되는 한편, 명부신앙의 영향력에 크지는데, 이 과정에서 경단은 업경대로 인식되는 과정이 일어난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현전하는 대부분의 ‘업경대’는 조선 중기 관음신앙의 확산과 어려워진 사회변화 속에서, 불보살의 가피력으로 제난구제를 기원함과 동시에, 수행자의 염송과 관행이라는 자력수행을 통해 성불코자하는 불교수행의식이 기존의 불교의식과 융합되는 과정에서 예경의 대상인 경단(鏡壇)으로 조상되어, 본전의 불상 앞에 진설되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동 유물의 명칭과 그 기능에 대해,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From the ancient times, mirrors have been produced as symbolic icons which carry power of incantation. In the Buddhist sutras, passages related with mirrors are often found and in the history of the Buddhist arts, a lot of mirror images are spreaded out in various area of works.
    This paper illuminates the identification and terminology of mirror stands which manufactu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number of over sixty cases, full bodies and/or parts. These works are recognised as so-called ‘karma mirror stand’, ‘buddhist spirit stand’, ‘bright mirror stand’ or ‘mirror alter’.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the naming and definition of those stands in related iconographic methodology,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buddhist rites.
    In relation to mirrors, Korean buddhist tradition has two main streams; one is karma mirror in the belief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and the other is mirror alter in the faith of Cundi Bodhisattva. In the research of the former usage of mirror, even though it is common understanding of the stands, the connection between mirrors and the related buddhist ritual. On the other hand, in the tradition of the belief of Cundi Bodhisattva, mirror prove itself as a key instrument in the process of religious services and disciplin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remained mirror stand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uld be identified as ‘mirror alter’ instead of ‘karma mirror stand’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investigation on the connection of the mirrors and the buddhist rituals, and the analyses of inscriptions also verifies the hypothe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