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텔레비전의 15대, 16대 대통령선거보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levision’s Coverage of the 15th and 16th Presidential Elections in Korea)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03
47P 미리보기
텔레비전의 15대, 16대 대통령선거보도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2호 / 45 ~ 91페이지
    · 저자명 : 권혁남

    초록

    본 연구는 15대, 16대 대통령선거 기간에 방송사들의 선거보도가 보도의 형식과 내용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고, 특히 보도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특정 후보나 정당에 대한 편파성은 없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5대 대선과 16대 대선 기간에 방송된 KBS-1 TV, MBC TV의 9시 뉴스와 SBS TV의 8시 뉴스를 내용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IMF기간에 치러진 15대 대선에 비해 16대 대선에서는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았다. 이는 기사건수, 방송시간, 그리고 뉴스밸류에서 그대로 잘 나타났다. 그리고 여전히 방송사들은 해설-기획기사보다는 스트레이트-스케치 기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나 16대에서는 해설-기획기사가 괄목할만하게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15대, 16대 대선 모두 메이저 후보들 간의 편파성은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메이저 후보와 군소후보 간의 편파성은 여전했다. 그러나 15대 대선에 비해 16대 대선에서 크게 개선된 점은 매우 긍정적인 변화라 하겠다. 기사내용은 16대 대선에서도 여전히 ‘선거운동, 선거유세’와 관련된 기사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15대 대선에 비해 이슈와 정책, 공약과 관련된 기사들이 괄목할만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16대 대선에서 이슈와 정책문제가 많이 다뤄졌다. 결국 과거에 비해 양적인 측면에서의 여당 편향성은 사라졌으나 질적인 측면에서의 여당 편향성은 아직도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what did the broadcasting systems and the broadcasting corporations report on and how?” during the period of the 15th and 16th Presidential elections in Korea. In essence, it tries to find the answer of these subjects as follows:
    1. How much did they report on the election news?
    2. How were the form and substance of the reports?
    3. Was it fair and impartial that they reported on each of the political parties or the candidates in a sense of quantity and quality?
    4. How much and how did they report on the policy news?
    Also, this paper analyze the contents of television election news in Korea, as a preliminary survey for a concrete investigation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voters’ inclination from television new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elevision news reported during the period of the 15th and 16th Presidential elections. We use the main news - ‘the 9 O’clock News’ in KBS1 and ‘News Desk’ in MBC, ‘The 8 O’clock News’ in SBS as the object of this analysis. The period of this analysis is for 5 weeks each before and after the day of public notice for the elections, and we limit the time for 13 days every third day.
    The standard unit of the analysis, meanwhile, is each independent news. Though ‘a’ reporter sums up the news of several candidates and political parties, this analysis stipulates it as independent news each.
    From all this, we conclude from this analys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tendency that broadcasting systems and broadcasting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elections, and their interest is more lively, especially after the day of public notice for the election.
    In second, election news from television include only a minimum of news commentaries which can be reported deeply and concretely. However, sketch news and straight news with superficial reporting is the majority.
    In third, perfectly balanced reporting is not existed in case of news contents, but the partial inclination to the government party has been disappeared in case of news forms. The candidates from the government party and the executives appears on television brightly and peacefully, but relatively, the appearance of the candidates from the opposition party, is full of the conflicts. Also, internally and externally, opposition parties in comparison with the government party are represented the complications and the collisions of view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