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관계 관련 국회 논의 과정 연구 : 제16대·17대와 제18대·19대 국회 본회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tional Assembly Discussion Process Related to Inter-Korean Relations: Focusing on the 16th/17th and 18th/19th National Assembly Plenary Session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남북관계 관련 국회 논의 과정 연구 : 제16대·17대와 제18대·19대 국회 본회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북한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북한연구학회보 / 26권 / 2호 / 147 ~ 178페이지
    · 저자명 : 허정필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진보 행정부 10년과 보수 행정부 약 10년 동안 남북관계 변화를 위한 16대·17대 국회와 18대·19대 국회의 주요 기능과 특징을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대·17대·18대·19대 국회 임기 동안 북핵 및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표명의 유사점이다. 16대 국회부터 19대 국회 임기 동안 발생한 남북 갈등과 사고에 대해서는 진보 및 보수 정부와 국회 정당과 상관없이 북한에게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둘째, 남북 간 사고 및 갈등 속에서 대정부 질문과 남북 관계 접근의 차이점이다. 16대·17대 국회 임기 동안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도 있었지만 북한의 핵실험과 제2연평해전 등으로 인한 남북 간 경색 및 사상자가 발생했다. 18대·19대 국회 임기 동안 개성공단을 통한 남북 경제협력을 진행하면서도 금강산관광객 피격,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등과 같은 다양한 사건과 사고로 인하여 남북 간 경색 및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16대·17대 국회는 대정부질문, 동의안, 결의안, 특위구성을 통해 정부의 남북 간 대화와 소통을 지지한 반면, 18대·19대 국회에서는 정부의 정책추진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정부질문과 결의안 그리고 특위를 구성했으며, 정부의 남북 간 대화와 소통 지지보다는 북한의 주요 도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 같은 국회의 차이점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17대 국회를 제외하고 16대, 18대, 19대 국회 모두 보수성향의 한나라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셋째, 법률안 제정 및 일부개정의 변화이다. 16대·17대 국회 임기 동안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법률이 다수 제정되고 일부개정된 반면, 18대·19대 국회 임기 동안에는 남한 내 통일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법령이 다수 제정되고 일부개정되었다. 이 같은 법률안 제정 및 일부개정 차이는 남북관계 소통 지속 또는 단절 과정에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lected the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progressive regim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in the 2000s and the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conservative government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in the 2010s to review and compare major discussions in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related to inter-Korean relations.
    The main features are: First, there is a similarity in expressing a strong stance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armed provocations during the tenure of the 16th and 17th and 18th as well as 19th National Assembly. Regarding inter-Korean conflicts and accid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tenure of the 16th through 19th National Assembly, a hard-line message was delivered to North Korea regardless of progressive or conservative governments or political par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it is a difference perspective for resolving government questions and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midst of accidents and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the tenure of the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y, there were efforts to develop inter-Korean relations, but there was a strain and casualties between the two Koreas due to North Korea's nuclear test and the second Yeonpyeong Naval Battle. During the tenure of the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carried out, but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such as the attack on a tourist at Mt. In this process, the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y supported inter-Korean dialogue and communication through government inquiries, motions, resolutions, and the formation of special committees, while the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held government inquiri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overnment's policy promotion. and resolutions, and a special committee were formed, and expressed a tough stance on North Korea's major provocations rather than the government's support for inter-Korean dialogue and communication. The background of such differences in the National Assembly is that the conservative Grand National Party (GNP) took an absolute majority in all the 16th,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except for the 17th National Assembly.
    Third, there is a change in enactment of the bill and partial revision. During the tenure of the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y, a number of law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were enacted and partially revised, while during the tenure of the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a number of laws and regulations were enacted and partially revised to create a unified environment in South Korea. Differences in the enactment and partial revision of these laws appeared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or cutting off communic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