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and Creative Spaces on the 7th Floor of Hongmungwan at Hongik Universit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5.03
12P 미리보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and Creative Spaces on the 7th Floor of Hongmungwan at Hongik University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20권 / 2호 / 53 ~ 64페이지
    · 저자명 : 전재봉, 임근영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modern educational landscape, the configuration and design of space play crucial roles in enhancing learners' creativity, interaction, and concentration, ultimately maximizing learning effectiveness. Particularly in fields like design education that emphasize creative thinking and collaboration, the configuration of educational spaces becomes increasingly critical. The existing educational spaces at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on the 7th floor of Hongmungwan have a closed and segregated structure that limits communication and the free exchange of ideas among students. This study aims to benchmark spatial design practices from world-renowned design schools to propose improvements for the environment on the 7th floor of Hongmungwan at Hongik University that would maximize students' creative outputs. (Method) This study is based on a proposed planning design for the spatial reorganization project at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design research method included: Firstly, prior research on educational space configurations that can enhance students' creativity was reviewed.
    Secondly, the use of space at renowned international design schools such as Harvard GSD and Cooper Union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essential spatial elements necessary for creative education. Thirdly, the current use of space on the 7th floor of Hongmungwan at Hongik University was surveyed to identify elements that require improvement, and based on these analyses, specific spatial design improvements suitable for enhancing creativity in visual design education were proposed.
    (Results) The main improvement proposal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configuring the space around a flexible corridor, moving away from the fixed classroom setup to enabl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ments. Second, utilizing ceiling spaces and walls to build infrastructure that supports installation art, projection mapping, and other visual experiments. Third, expanding open learning space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students,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ideas can be freely shared and discussed. These improvements are expected to stimulate students' creative ideas and foster interactions, thus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onclusions) The design improvements proposed through this research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innovative transformation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Hongik University's Hongmungwan 7th floor, specifically designed for design education spaces.
    These spatial design enhancements will play a crucial role in boosting students'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skills, serving as important references for future planning of design education spaces. Additionally, this research can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space improvement initiatives in design departments and inspire similar projects aimed at revitalizing learning and creative spaces at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