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난 백제 복식과 콘텐츠 (Baekje Costumes and Contents depict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2
28P 미리보기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난 백제 복식과 콘텐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59호 / 45 ~ 72페이지
    · 저자명 : 라선정, 정재윤

    초록

    본 논문은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20주년을 맞이하여 백제금동대향로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백제금동대향로에 부조된 각종 인물상의 복식을 살펴보고, 복식 속에 나타난 백제 문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백제금동대향로와 백제금동대향로 속에 나타난 복식을 활용한 콘텐츠를 예시하여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백제금동대향로에 부조된 각종 인물상의 복식의 형태는 주변 국가와 유사한 이부식 구조이다. 여기에 절제된 화려함으로 검소함과 세련미가 깃든 백제적인 요소가 더해져 백제적인 특징이 드러난다. 각종 인물상 복식의 모든 선 장식은 주변 국가와 달리 모두 직선을 띠고 있다. 또한 드레이프성을 살려 인체와 옷 사이에 공간을 부여하여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직선 형태의 의복을 착용하면 곡선 형태의 의복보다 편리성·실용성·안락성을 느낄 수 있고, 직물의 허실이 줄어들어 요척을 최소화 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불필요한 것을 최소화 하려는 백제인의 지혜와 검소함이 스며들어, 보다 편리하고 실용적인 복식이 제작되었다. 여기에 드레이프성을 살려 늘어지는 것은 방지하면서 실제 보기에는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율동성과 깔끔함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백제 복식은 백제인의 미의식을 보여주는 최적의 표현이며 백제 복식만이 가진 백제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백제금동대향로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는 형태적·상징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이나 스토리텔링을 예시하였다. 이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이 아닌 문화의 친밀도와 연결되어 문화 상품의 판매, 나아가 이를 콘텐츠화한 상품의 전략적 판매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조된 표현물을 캐릭터로 재창조시켜 각종 디자인·영상·게임물 등 부가적 상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직물지 개발을 통한 패션상품·장식용품·인테리어 상품 등 각종 문화상품, 교복·공무복·일상복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다. 여기에 실용성·기능성·심미성을 겸비한다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좋은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백제 문화 전반에 흐르는 백제인의 정신적 요소에 백제적 양식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백제스타일로 표현하는 것이 백제 문화 콘텐츠의 전제이다. 백제스타일화한 의복을 일상적으로 착용함으로써 백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백제 문화의 생활화를 통해 친숙한 이미지를 부각시킴으로써 백제 문화원형을 생활화·산업화·세계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ue of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on the occas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its excavation.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of Baekje culture depicted in the relevant costumes was, in this study, analyzed by examining the costumes of various figures engrav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Furthermore, various contents utilizing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the costumes depicted on it were illustrated.
    The costume form of various figures engrav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is two-piece style similar to that of neighboring countries, but the element of Baekje with the understated splendor, simplicity and sophistication can be found in it. All band decorations of costumes of various figures have form of straight line unlike those of neighboring countries. In addition to this, the softness is expressed by assigning a space between the human body and clothes showing off the drapability.
    The cloth in the form of straight line provides convenience, practicality and comfort more effectively than that in the form of curve, and it also minimizes the yield yardage by reducing the fabric waste and losses. Therefore, the Baekje costumes contain the wisdom and simplicity of Baekje people, who endeavored to minimize the unnecessary things, and their will to reduce the inconvenience in more convenient and practical activities. In addition to that, Baekje costumes stress the gentle and natural rhythmic character and dapperness while preventing drooping by showing off the drapability. Thus, it is the optimum expression of Baekje people's aesthetic and also the element of Baekje that is contained only in the Baekje costumes.
    Also, the animation or storytelling is, in this study, illustrated by utilizing the morphological and symbolic aspects of contents bas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It is not just an animation itself, and it can lead to the sale of cultural goods by connecting with the cultural intimacy and eventually to the strategic sale of cultural contents. Also, the use of additional products including various designs, images and games is possible by reinventing the engraved expressions into the characters, a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cultual goods, school uniforms, official uniforms and everyday dresses consisting of fashion goods, ornaments and interior go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fabrics. By combining the practicality, functionality and aesthetic with it, the good contents that can raise value added will be created and utilized.
    The contents of Baekje culture is to express the combination of spiritual element of Baekje people in Baekje culture in general and Baekje style. We will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Baekje by routinely wearing the Baekje-stylized costumes and prepare the ground for the familiar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Baekje cultural archetype by improving the relevant image through the familiarization of Baekje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