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양양(襄陽) 하조대(河趙臺)의 유래와 경관에 따른 명승의 향유 방식 (The Origin of Hajodae(河趙臺) in Yangyang(襄陽) and the Way of Enjoying Scenic Sites(名勝) According to the Landscape in Joseon Dynast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3
10P 미리보기
조선시대 양양(襄陽) 하조대(河趙臺)의 유래와 경관에 따른 명승의 향유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40권 / 1호 / 55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세호

    초록

    이 글은 양양 하조대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그 유래와 경관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문인들이 향유한 하조대의 문화사를 조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조대는 하륜(河崙)과 조준(趙浚)이 유람한 고사가 전하는 공간이다. 다만 이러한 전설이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았기에 역사에서는 다양한 이견이 공존했다. 조위한(趙緯韓)은 양양 부로들의 의견을 인용해 조준이 아닌 조인벽(趙仁壁)일 수 있다고 하였고, 조덕린(趙德 鄰)은 ‘멀리 보는 대’라는 의미의 ‘遐眺臺’로 기록했다. 문헌적 근거를 밝혀 하조대의 유래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둘째, 하조대는 조선 중기 관동 최고의 명승으로 회자되었다. 당대 문인들은 하조대를 관동 최고의 명승 가운데 하나로 거론했고 이는 곧 양양의 상징이 되었다. 이러한 하조대의 기록은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관동팔경이 정립되고 낙산사(洛山寺)가 명성을 얻으면서 하조대의 위상이 다소 줄어든 데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셋째, 조선의 문인들은 하조대의 다양한 경관을 통해 명승을 향유했다. 삼면이 탁 트인 지세는 바다를 조망할 수 있었고 호연지기를 기르거나 스스로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한편, 근경에 해당하는 기암절벽은 유람객의 이목을 사로잡았고, 하조대 일대에 핀 해당화는 기이한 매력을 보이기에 충분했다. 이는 하조대가 지닌 다양한 매력을 보여주고 이와 같은 경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넷째, 하조대를 읊은 한시는 하조대가 지닌 그 공간적 의미를 보여준다. 하조대를 주제로 한 한시의 면면을 살펴보면, 경관을바탕으로 회포를 풀어낸 경우, 자연경관에 자신의 존재를 견주거나 의식을 투영한 면모, 조선 전기 명신 하륜과 조준을 회고한 사례등이 확인된다. 경관을 통해 자신의 소회를 표출하고 역사를 회고하는 양상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cultural history of Hajodae(河趙臺) enjoyed by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origin and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s of Hajodae in Yangyang(襄陽).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jodae is a space that is said to have been visited by Ha Ryun(河崙) and Jo Jun(趙浚). However, since this story has not been confirmed in the literature, various opinions coexisted in history. Jo Wi-Han(趙緯韓) quoted the opinions of aged people who lived in Yangyang, saying that it could be Jo In-Byeok(趙仁壁), not Jo Jun(趙浚), and Jo Deok-Rin(趙德鄰) recorded it as "遐眺臺", which means "a stand for a distance view." There is a need to clearly present the origin of Hajodae by revealing the literary authority.
    Second, Hajodae was talked about as the best scenic site in Gwandong(關東)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The writers of the time mentioned Hajodae as one of the best scenic sites in Gwandong, which soon became a symbol of Yangyang. These records of Hajodae show a relatively decreasing trend ente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slight degrading in the status of Hajodae as the Eight Views of Gwandong were established and Naksansa Temple(洛山寺) gained fame.
    Third, the writers of Joseon enjoyed the scenic sites through various landscapes of Hajodae. The open terrain on three sides allowed a sea view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 great spirit or to reflect on oneself. On the other hand, the strange rock formations and cliffs, which correspond to a close-up view, drew the attention of tourists, and the Rosa rugosa Thunb. blooming in the Hajodae area was enough to show a bizarre charm. This shows the various charms of Hajodae, suggesting that the management of such landscape is necessary.
    Fourth, a Chinese poem about Hajodae shows the spatial meaning of Hajodae. Looking into all sides of the Chinese poem about Hajodae, a case of unburdening one's mind on the landscape, and the aspect a person compared oneself to the natural landscape or projected one's consciousness onto it, and a case of recalling Ha Ryun and Jo Jun, illustrious retain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onfirmed. It can be seen that it results in the aspect of expressing one's impressions and looking back on history through the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