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세기 후반 加羅國의 성장과 帶山城 전투의 성격 (The development of Karakuk(加羅國) in the late fifth century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battle of Taesan Fortress(帶山城))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5세기 후반 加羅國의 성장과 帶山城 전투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2호 / 113 ~ 144페이지
    · 저자명 : 신수진

    초록

    5세기부터 加耶史는 고령의 加羅國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5세기 후반이 되면 『南齊書』를 시작으로 『三國史記』와 『日本書紀』 등에서 가라국의 대외활동을 보여주는 기사가 확인된다. 그중 『일본서기』 顯宗紀에 보이는 帶山城 전투는 가라국의 대외관계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기존연구에서는 倭·百濟·高句麗 등을 중심으로 대산성 전투에 접근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기사의 내용과 전후의 대내외적 맥락을 고려할 때, 대산성 전투는 5세기 가라국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위치 지어져야 한다.
    479년 南齊에 朝貢한 가라국은 고령 세력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시기 가라국은 주변 가야제국에 대해 정치적 지배관계를 성립시켜 가고 있었다. 가라국은 남제로부터 冊封 받아 국제사회에 自國을 알리고 가야제국 내에서의 권위를 제고하였으며, 威勢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중국의 선진문물 및 생산기술을 입수할 수 있었다.
    고령양식 고고자료를 통해 가라국이 위세품을 매개로 남원·산청·임실·장수·함양·합천 등의 지역과 貢納制的 관계를 맺은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가라국이 복속시킨 지역은 고령 북서쪽으로 진안지역까지 이르러 백제와 국경을 접했다. 남제 조공 과정에서 백제의 협력을 받고 新羅에 원군을 파견하거나 對倭 교역을 주도하는 등 가라국은 남제·백제·신라·왜 등의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가라국은 고구려가 백제를 군사적으로 압박하고 백제에서 귀족세력의 정치적 입지가 변화하는 상황을 이용하여, 백제 영역인 금산지역으로 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일본서기』 顯宗紀에 보이는 487년경의 대산성 전투가 그러한 상황을 보여준다. 대산성 전투를 주도한 紀生磐宿禰는 백제 木氏 세력인 有非跛이고 那奇他甲背는 가라국에 복속된 장수지역의 재지 세력으로 이해된다. 이들은 당시 고구려 영역이었던 爾林에서 백제인을 죽이고 대산성을 축조하여 東道를 막아 백제의 군량수송로를 차단했다. 대산성의 입지 조건을 충족하는 곳으로 충남 금산군 제원면의 천내리산성이 주목된다. 이 성은 백제 東方城이 있던 논산시 은진면에서 금산지역을 거쳐 금강 水系로 나아가는 길목에 위치한 삼국시대 산성이다. 가라국은 금산지역으로 영역 확장을 꾀하면서 삼국 간의 전쟁에 직접 참전하여 자국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대산성 전투 이후 가라국은 대외관계에서 더욱 적극적이고 과감한 행보를 보였다. 가라국은 백제에 대항할 수 있는 외교대상을 모색하여 496년 신라와 通交했다. 대산성 전투를 계기로 백제는 가라국에 대한 영역화를 시도하여 섬진강 유역을 공격해왔다. 가라국은 築城과 군사력 동원을 통해 이에 즉각 대항했다. 안정적인 국제관계보다 자국의 팽창을 우선시하며 가라국은 신라와 우호관계를 강화하고 백제·왜와 충돌하는 등 대산성 전투를 기점으로 대외정책의 방향을 크게 전환했다.
    5세기 후반 가라국은 주변 지역을 정치적으로 복속시키고 가야제국의 대외관계를 장악·통제하였다. 주변 국가들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던 가라국은 대산성 전투를 통해 백제 영역으로 진출하고자 하였다. 가라국이 백제·왜와 군사적으로 충돌하고 신라와 우호관계를 강화하는 등 이전과 다른 대외정책을 전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삼국의 전쟁 양상은 加耶地域을 둘러싼 羅濟의 대립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대산성 전투는 5세기 가라국의 성장을 보여주는 동시에 가라국의 대외관계와 삼국의 역학관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rom the fifth century, Karakuk(加羅國) in Koryŏng was a center of the history of Kaya(加耶). The battle of Taesan Fortress(帶山城)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turning point of Karakuk’s international relations. Previous researches often approached to the text assuming Wa(倭), Paekche(百濟), and Koguryǒ(高句麗) as central figures of the battle.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text,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 of the aftermath however, it is necessary to newly interpret the battle’s significance as development of Karakuk.
    Karakuk tributed(朝貢) to the Southern Qi(Nan Qi, 南齊) in 479. At this period, Karakuk formed a political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other countries of Kaya. Karakuk could introduce their existence to the world, and confirm their dominance over the countries of Kaya with installation(冊封) from the Southern Qi. Additionally, Karakuk could acquire Chinese advanced culture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Koryŏng-style archaeological relics indicates a possibility that Karakuk established tributary system with the local powers in Namwŏn, Sanch’ŏng, Imsil, Changsu, Hamyang, Hapch’ŏn and etc through these prestige goods as a medium. The region Karaku subjugated expanded to the Chinan area, and shared a border with Paekche. Karakuk also formed amicable relations with Southern Qi, Paekche, Silla(新羅), Wa and other powers. This phenomenon could be seen in the kingdom’s activities such as receiving Paekche’s support during the process of paying a tribute to the Southern Qi, or sending reinforcement to Silla, or taking a principal role in the exchanges with Wa.
    Taking advantage of the situation that Koguryǒ militarily suppressed Paekche and political positions of Paekche’s aristocrats changed, Karakuk attempted to infiltrate into the Paekche’s territory, namely the Kŭmsan area. The battle of Taesan Fortress in 487 recorded in Kenzo-ki(顯宗紀) of Nihon shoki(日本書紀) demonstrated the situation. Ki no Ohiha no Sukune(紀生磐宿禰) was in fact Yupip’a(有非跛), a member of the Mok family(木氏) in Paekche and Nakit’akappae(那奇他甲背) was one of the local forces in the Changsu area, a territory in which Karakuk dominated. They killed Paekche’s person in Irim(爾林), a territory of Koguryǒ at this time, and cut Paekche’s supply route by building Taesan Fortress and blocking the eastern road(東道).
    Ch’ŏnnaeri Mountain Fortress in Chewŏn township, Kŭmsan county, Ch’ungnam province is the best candidate for Taesan Fortress. Ch’unnaeri Mountain Fortress was estimated to be built at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e Fortress was located at a intermediate point where connects Paekche’s Dongbang Fortress(東方城) in Nonsan city, ŭnjin township, to a system of Kŭm River(錦江) though the Kŭmsan area. Karakuk, seeking to expand its territory to the area, joined a war of the three kingdoms, and subsequently demonstrated the country’s geopolitic importance.
    After the battle of Taesan Fortress, Karakuk prosecuted even more active polic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Expecting a diplomatic partner to counter against Paekche, Karakuk promoted a friendly diplomatic relation with Silla. After the battle, Paekche invaded the Sŏmjin River(蟾津江) basin to occupy and subjugate Karakuk, and Karakuk immediately counteracted the invasion by building fortresses and mobilizing military forces. Giving priority to territorial expansion than stabl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e country fortified the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and conflicted with Paekche and Wa. The circumstance shows Karakuk’s transition of diplomatic policies after the battle.
    In the late fifth century, Karakuk politically dominated its surrounding area, and monopolized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countries of Kaya. The country sought to expand into the territory of Paekche through the battle of Taesan Fortress. Karakuk, conflicting with Paekche and Wa and fortifying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carried forward diplomatic policies which could not be seen before. Thereafter, the conflict of Paekche and Silla became a center of the war of three kingdoms. It is conceivable that while symbolizing Karakuk’s development, the battle of Taesan Fortress was a significant incident directly affected to a transition of political dynamics of the three kingd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