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 「사대기(四代紀)」 연구 (A Study on Hwang WhangJungyun(黃中允)’s 「Sahdaegi(四代紀)」)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 「사대기(四代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주어문 / 45권 / 5 ~ 31페이지
    · 저자명 : 홍현성

    초록

    본고는 「사대기」 속 왕위⋅왕조 교체의 이면에 자리한 ‘이치’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창작의도를 구명(究明)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대기」는 순환론적 세계관에 기반을 두었다. 작중 왕위 및 왕조 교체는 날씨와 계절의 변화를 지시하여 나타냈다. 민심의 호오와 무관하게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순서에 맞게 바뀌듯 「사대기」 속 왕조는 민심과 상관없이 천리(天理)에 따라 교체되었다. 결과적으로 「사대기」 속 천리는 무정(無情)했다. 황중윤은 사대 뒤 동황제의 후손이 다시 임금이 된 것은 백성의 기억을 말미암았다고 서술함으로써 천리 외에 또 다른 이치가 ‘백성’을 통해 구현된다고 했다. 「사대기」에서 백성은 드러난 역할은 미미했다. 하지만 백성은 정확한 판별과 기억을 담당함으로써 이치를 구현하는 핵심 요소로 그 역할을 했다. 「사대기」 창작 상한선은 1628년(인조 6)이었다. 이 시기는 황중윤이 해남에 유배된 지 5년여가 흘렀을 무렵이었다. 황중윤은 끝 모를 유배기 동안 「사대기」를 썼다. 「사대기」 창작의도는 엄존하는 세상의 이치를 밝혀 직시(直視)하고 이해함으로써 막연한 기대에서 파생된 조급함을 쇄신해 항심(恒心)을 다잡는 데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logicalof the throne and dynasty replacement in the “Sahdaeki” and to clarify the author's creative intention. 「Sahdaeki」 expresses the change of season as a throne/dynasty replacement.
    The change of throne was weather, and the change of dynasty was a seasonal change. As the seasons changed according to the planned celestial irrespective of public sentiment, the change of the throne and dynasty was also independent of public sentiment. As a result, even without virtue, he became a wage, and even a politician who was not punished. However, the people accurately discerned the good wages and remembered the graces of the wages. The descendants of the emperor became kings when the ‘season’ came again because of the exact separation and memory of these people.
    Since the issue of the taxation that occurred after the war between ‘HuGeum(後金)’ and ‘Chosun(朝鮮)’ was mentioned, the upper limit of the creation of “Sahdaeki” was in 1628. This was around five years after Hwang Joong-yun was exiled to ‘Namhae’ through the ‘coup’.
    Whangjungyun(黃中允) wrote writing that directly looked at the two sensations: The ruthlessness of the logic of the sky and The accuracy of the people. The creative intention of “Sahdaeki” was to correctly recognize the heavenly reason and to understand the unsatisfactory resistance of the he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주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