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지식인 여성의 자의식과 사유세계: 이사주당(李師朱堂, 1739-1821)을 중심으로 (The World of thoughts and Self-Consciousness of the Women Intellectuals in Late Choson Dynasty : Focusing on Lee SaJuDang(1739-1821))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6
25P 미리보기
조선후기 지식인 여성의 자의식과 사유세계: 이사주당(李師朱堂, 1739-1821)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68호 / 185 ~ 209페이지
    · 저자명 : 이남희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에 유교적 소양을 갖추고 한문으로 글을 읽고 쓴 지식인 여성의 구체적인 사례로 이사주당(李師朱堂)의 삶과 학문을 검토하면서 지식인 여성의 자의식과 사유세계를 살펴보았다. 조선후기에는 문화 융성의 영향으로 점차 글을 읽고 쓰는 양반 부녀자들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나아가 유교적인 소양을 갖추고 한문으로 글을 쓰며 성리학을 연구한 여성도 있었다.
    조선후기 지식인 여성으로서의 사주당의 자의식과 사유세계에는 다음과 같은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사주당은 조선후기 사회 전반의 경제적 생산력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에 힘입어 서민문화가 꽃을 피운 영·정조대의 문예부흥 시기를 살았다. 그녀의 삶에는 그러한 시대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가학(家學)적 배경도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고단한 삶 속에서도 여성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했으며 남녀평등의 가치관으로 아들과 딸의 교육에 차이를 두지 않았다. 셋째, 여느 지식인 여성처럼 사주당은 굳이 글을 남기고자 하지 않았으며 아들, 당대의 사대부 등 선비 교육에 관여하였다.
    끊임없는 수양을 통해 개인적인 고통을 극복하고 이를 학문으로 승화시켰으며, 현실에서의 여성을 넘어 보편적인 인간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강한 의지와 부단한 실천으로 자의식을 구축해간 것이다. 조선후기 지식인 여성의 삶과 학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을 통해 조선 후기의 사회문화적 변동 양상에 대해 새롭게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women intellectuals who could read and write in Chinese letters and had a certain degree of Confucian knowledge in late Choson Dynasty. They are also distinguished from other women that wrote just poems in Chinese letters. More concretely, this paper tries to review what they thought in their daily life, and what kind of self-consciousness they had. They studied the Confucianism, especially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Furthermore, they left their own anthology and the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Such women intellectuals can be considered as Woman SeonBi and Woman Nobleman. This paper reviews one representative example: the life and learning of Lee SaJuDang(李師朱堂, 1739-1821), the author of the book titled Taegyo-Shingi. She overcame her unhappiness through constant learning and self-cultivation. She also accepted her responsibility and family works as woman that were not bounded to her at all. She was evaluated as Woman SeonBi and Woman Nobleman by her contemporaries.
    In her life, she tried to overcome the gender-based limit as woman and made her efforts to be the universal human being. Establishing the clear self-consciousness, she reinterpreted the society and Neo-Confucianism of Choson Dynasty and finally discovered a new horizon of v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