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代 邊境地域의 藩鎭과 對外關係 - 東北邊境地域에서 邊境政策의 變化와 관련하여 - (The Frontier Fanzhen(藩鎭) and Foreign relations in the Tang Dynas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1.10
37P 미리보기
唐代 邊境地域의 藩鎭과 對外關係 - 東北邊境地域에서 邊境政策의 變化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74호 / 79 ~ 115페이지
    · 저자명 : 이영철

    초록

    이 논문은 唐代 동북변경지역에서의 기미체제와 그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唐은 武德年間부터 內附한 주변민족을 府나 州로 편제하여 통치하는 羈縻政策을 실시하여 변경의 안정을 확보하려 하였다. 羈縻州의 통치는 기본적으로 기존 부족 수령의 통치를 인정하여 자치를 허용하는 한편 이들을 中國式 행정체제로 편제하여 주변에 있던 正州 都督의 감시·감독하는 방식으로 유지되었다. 기미주의 주민은 州의 설치와 함께 城傍에 소속되어 唐의 군사행동에 동원되었다. 이러한 체제는 武后 萬歲通天元年(696) 발생한 契丹首領 李盡忠과 歸誠州刺史 孫萬榮이 연합한 반란으로 파정을 맞이하였다.
    거란 반란이후 唐은 변경지역의 군사역량을 강화하고 이민족 사회 업무를 전담하기 위한 軍鎭과 押蕃使를 설치하였다. 李盡忠․孫萬榮의 반란으로 기미주에서 이탈했던 契丹과 奚가 開元4年(716) 다시 내부한 것을 계기로 唐은 영주지역에서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押蕃落使를 설치하고, 이듬 해 平盧軍을 설치하였다. 押蕃落使와 平盧軍은 營州都督의 지휘아래 羈縻州를 감독하고 안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주로 기미주 사회의 동향에 군사적으로 대응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전의 도독부을 중심으로 기미주를 감독하고 안무하던 관리체제에서 군사적으로 대응하는 방어체제로 전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변경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을 행사하겠다는 것보다는 이들을 방어하여 변경지역의 안정을 확보하겠다는 정책 기조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이러한 軍事的 방어체제는 開元7年(719)에 설치된 平盧節度使를 중심으로 강화시켜 나갔다. 唐은 平盧節度使의 관할지역을 營州와 遼州, 燕州까지 확대시키고, 병력을 늘려 군사적 대응력을 강화하고, 管內諸蕃使를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平盧軍은 기존의 押蕃落使와 신설된 管內諸蕃使에게 이민족 관련 업무를 분담하였다. 諸蕃部落使는 내부한 管內의 羈縻州의 주민과 관련된 일반적인 업무를 押蕃落使는 羈縻州의 주민의 문제를 군사적으로 대응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諸蕃使와 押蕃使는 營州都督이 존재하였으나, 이 모든 職을 節度使가 兼職하였기 때문에 변경지역에서 이민족 업무가 藩鎭을 중심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唐이 방위체제를 강화해 나가던 시기의 동북지역의 형세는 기존의 契丹과 奚 외에, 渤海와 黑水靺鞨이 성장하여 변경지역에서 군사적 충돌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신라와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대외업무가 증가했다. 때문에 동북지역의 이민족 업무는 營州와 幽州가 분담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開元28年(740) 平盧節度使가 押兩蕃渤海黑水使를 兼職하게 한 후 이어 天寶元年(742) 幽州節度使가 押奚契丹兩蕃使를 兼職한 것은 기존의 契丹과 奚는 幽州가, 새롭게 성장하고 있던 渤海와 黑水靺鞨은 平盧가 각각 담당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던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업무의 분담은 安史의 亂 중 平盧軍이 산동반도에 있던 靑州로 移鎭한 후, 肅宗 永泰元年(765) 平盧淄靑節度使가 押新羅渤海兩蕃使를 兼職하여 고정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jimi(羈縻) system and its change process of the northeast border areas in Tang(唐) Dynasty. From the beginning, Tang Dynasty organized the surrendered into Fu(府) or Zhou(州) and ruled them. Thereby, it intende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border. This system, however, began to falter from the regime of Gaozhong(高宗) and came to an end due to the revolt of Li jin-zhong(李盡忠) and Sun Wan-rong(孫萬榮) in Xiedan(契丹). That' why Tang Dynasty should search for the new northeast border policy.
    It built up military strength and established a military camp(軍鎭) and Yafanshi(押蕃使) which assumed the tasks of neighboring peoples after the revolt of Xiedan. Although Yafanshi and Pinglujun(平盧軍) threatened and coaxed Jimizhou(羈縻州) under control of YingZhoududu(營州都督), they militarily coped with the trend to the society of Jimizhou. This means that the system of threatening and coaxing changed into military defense system. This military defense system was operated by Pinglujiedushi(平盧節度使) which was established in Kaiyuan 7th year(開元7年).
    While Tang Dynasty was strengthening its defense system, Bohai(渤海) and Heishuimohe(黑水靺鞨) besides Xiedan and Xi(奚) were also developing their own powers in the northeast regions, which caused military collisions at borders. Furthermore, its foreign affair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d exchange with Silla(新羅). Yingzhou(營州) and Youzhpu(幽州) thereafter shared the affairs related with the surrounding nomadic peoples at northeast areas. When Pingluziqingjiedushi(平盧淄靑節度使) simultaneously hold the other job of Yaxinluobohailiangfanshi(押新羅渤海兩蕃使) in Suzhong(肅宗) Period(765), this phenomenon got settled after Pinglujun moved to Qingzhou(靑州) in the Shandong(山東) Peninsula during An-Shi Rebellion(安史之亂).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