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티베트 정책 고찰(1949~2008): 민족문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인식을 중심으로 (China's Tibet Policy(1949-2008): Based on the Perception by Chinese Communist Party on national minority issu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12
27P 미리보기
중국의 티베트 정책 고찰(1949~2008): 민족문제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49권 / 5호 / 273 ~ 299페이지
    · 저자명 : 최지영

    초록

    티베트는 중국 소수민족정책의 핵심이라 할 정도로 중국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소수민족지역이다. 그러나 59년 라싸 봉기 이후 2008년 3. 14 시위까지 독립에 대한 요구와 시위가 현재까지도 끊이지 않고 있는 티베트의 상황은 건국 이후 지난 반세기 중국의 티베트 정책에 대한 고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글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2008년 3. 14 봉기까지 지난 59년 동안 중국의 티베트 정책을 중국 공산당의 민족문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티베트 정책은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시종일관 사회주의 개조를 통한 민족 간 융합(실질적으로는 한족 중심의 동화)이 목적이었으나, 당면 시기 티베트 민족 문제의 특수성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인식이 티베트 정책의 구체성을 결정지었다 볼 수 있다. 티베트 민족 문제의 특수성을 고려하게 되면, 티베트의 민족적 ․ 종교적 특수성에 대한 수용과 이에 따른 티베트 기존 지배계층과의 통일전선전술이 강조된다. 반면 티베트 민족문제의 특수성을 부정하게 되면, 타 소수민족지구와 마찬가지로 대중노선을 통해 티베트의 민주개혁과 사회주의개조를 실행하고자 하는 상대적으로 급진적인 동화정책이 도출되게 되는 것이다(II장 표1 참조).
    이 글은 중국 민족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목표가 사실상 “개별 소수민족의 소멸과 한족 중심의 동화”임을 밝히고, 이러한 목적 하에 지난 반세기 중국의 티베트 정책을1) 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59년 라싸 봉기 이전까지 “티베트 민족의 특수성 우선 인식 하의 온건동화정책”, 2) 59년 라싸 봉기 이후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사회주의개조(생산관계 중심)를 통한 급진동화정책”, 3) 문화대혁명 이후 개혁개방과 89년 3월 봉기 및 천안문 사건 이전까지는 다시 “티베트 민족의 특수성 우선 인식하의 온건동화정책,” 그리고 4) 89년 이후부터 2008년 3. 14 봉기까지는 “사회주의개조(생산력중심)를 통한 급진동화정책”이라 구분하고 중국의 주요 지도자들의 발언과 중공 중앙의 티베트 관련 문건 분석을 통해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Tibe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inority region for China to represent a core element of China's national policy towards ethnic minorities. Despite the importance, however, the situation in Tibet has been unstably Fluctuating: During a period from the 1959 Lhasa Uprising to the 2008 March 14 demonstrations, Tibet was troubled with a serious of resistances to win back their independence from China. Such a situation makes it necessary to study China's Tibet policy that has been for the past five decad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hina's Tibet policy during the past 59years that range from the 1949 founding of the PRC to the 2008 March 14 demonstrations, based on the perception by the CCP on minority national issue. China's Tibet policy, with a view to the continuity aspect, has been constantly intended to fulfill the assimilation to Han People through socialist building. However, under this goal, the CCP's perception on the uniqueness of Tibet minority national issue at the particular time practically sharped up the China's tibet policy decision. When the particularity of Tibet minority national issue is firstly considered, it is stressed for China's Tibet policy to accommodate the ethnic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Tibet and a united front tactic with the Tibet's existing ruling class is given priority to.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t characteristics of Tibet national issue is under-estimated, it lead China to swing back to relatively radical assimilation policy under which reform Tibet through democratic and socialist reorganization by applying the same minority national policy(table II-1).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at the China's national minority policy are virtually intended to destroy the identity of individual minority and thereby integrate it into Han Chinese through analysis of Chinese national theory. Then, it is to classify China's policy towards Tibet into four stages in period according to the CCP's changing perception about the Tibet's national minority issue: 1) China applied the "moderate assimilation policy under its perception of the particularity of Tibetan nation during the period from 1949 foundation of PRC to the 1959 Lhasa uprising; 2) following the 1959 uprising of Lhasa and China's cultural Revolution the China changed its policy towards radical assimilation by socialist reconstruction; 3) follow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at triggered Reform and Open Door policy, China switched back to the moderation policy under the CCP's changed perception on the Tibetan national issue; 4) the policy transferred to radical assimilation by socialist reconstruction based productive capacity during the period from post-Tiananmen of 1989 to 2008 March 14 uprising. Under this policy classification, attempt is made to examine the China's Tibet policy broadly through analysis of the Chinese leader's remarks and CCP's Tibet-related official docu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