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도(素堂)의 홋쿠(発句) 「何となう假名書習ふ柳かな」의 연구 (A Study on Sodo's Hokku : Nantono kanakakinarahu Yanagikan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1
20P 미리보기
소도(素堂)의 홋쿠(発句) 「何となう假名書習ふ柳かな」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05호 / 237 ~ 256페이지
    · 저자명 : 황동원

    초록

    본고는 소도의 홋쿠「何となう假名書習ふ柳かな(어쩐지 가나를 쓰며 익히는 것처럼 바람에 나부끼는 버드나무네!)」의 시적 이미지가, 선행문예인 와카, 렌가, 데몬하이카이, 단린하이카이의 「버드나무」의 시적 이미지와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선행문예에 노래된 버드나무가 「붓」과 「문자」가 연상되는 시적 이미지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에 비유되어 문자를 쓰는 즉 서예를 하는 나무로서의 시적 이미지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도가 자신의 홋쿠에서 버드나무가 가나문자를 반복해서 쓰며 익힌다고 노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명백히 했다. 또한 홋쿠에 노래된 가나문자는 버드나무의 부드럽고 하늘거리는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가타카나보다는 히라가나에 가까운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나아가 버드나무의 긴 가지와 부드러움을 생각했을 때에는, 발음이 다소 딱딱한 「난토낫쿠(何となく)」보다는 발음이 부드러우며 긴 여운이 남는 「난토노-(何となう)」를 의도적으로 노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버들가지와 히라가나와의 부드러움의 공통성, 버들가지의 부드럽고 길게 늘어진 모습과 「난토노-(何となう)」가 가지는 발음의 부드러움과 긴 여운이라는 공통성을 발견한 소도의 발상은, 선행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적 이미지의 추구였다.

    영어초록

    This manuscript considers the nature of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poetic imagery of Sodo’s Hutku in 「Nantono Ganakakinarahu Yanagikana (Somehow it is a willow tree fluttering in the wind as though it is becoming familiar by writing Kana!)」and previous literature as Waka, Renga, Demonhaikai, and Danlinhaikai.
    As a result, the willow tree appearing in the previous literature contains poetic imagery reminding of「brush」and 「letter」. Since it contains the poetic image of wood used for writing letters likened to a brush, Sodo clearly defined the possibility of describing the willow tree at Sodo’s Hutku, thereby becoming familiar with Kana letters by writing persistently. Furthermore, by considering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willow tree as soft and wavy, Kana letters described in Hutku seem to be closer to Hiragana than to Katakana. By considering the image consisting of long branches and softness reminiscent of a willow tree,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scribing 「Nantono」, which is pronounced smoothly and leaves lingering imagery, rather than 「Nantonaku」, pronounced stiffly, on purpose.
    Sodo’s idea, especially of finding similarity between the willow tree branch and the pronunciation of 「Nantono」, the symbolism of the willow figure as soft and long flowing and the pronunciation of 「Nantono」as a soft and remaining lingering image, pursues a new poetic image which has never previously been attempted in the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