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祀典 체계의 특징과 운영 -당,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서-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of Ritual System in Silla: Comparative Study on Ritual System of Tang and Ancient Jap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3
28P 미리보기
신라 祀典 체계의 특징과 운영 -당,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10호 / 193 ~ 220페이지
    · 저자명 : 한영화

    초록

    당의 제사체계는 天神, 地祇, 人鬼, 先聖·先師에 대한 제사로 등급에 따라 대·중·소사로 편성되어 있었다. 일본은 천신과 지기에 대한 제사만으로 대·중·소사가 편성되었다. 신라는 당, 일본과는 달리 국가제사 중 三山을 비롯한 명산대천에 대한 제사만이 대·중·소사로 편성되어 있을 뿐, 시조묘, 신궁, 오묘, 사직 제사 그리고 팔자, 선·중·후농, 풍백, 운사, 영성 제사와 別制·水旱에 따른 제사들이 대·중·소사와 관계없이 나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수, 당의 제사체계를 수용하여 대·중·소사의 제사 등급화를 진행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의 제사들간의 위상 차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병렬적 구조로 서술되었던 것이다.
    당에서 제사에 대한 직무를 맡은 관사는 6부 중 禮部였으며, 예부의 통속관사인 祠部였다. 사부는 각종 제사, 천문과 시간, 도교와 불교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였다. 일본에서는 행정을 맡았던 태정관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기관인 신기관에서 관장하였다. 신라의 국가제사 담당 관사는 예부 소속의 전사서로 추정된다. 일본이 신기관이라는 독립적인 관사로 제사를 운영했다고 한다면, 신라는 당과 유사하게 예부를 통해서 업무를 관장했던 것이다. 다만 당의 사부는 길례에 해당하는 국가제사뿐만 아니라 불교, 도교와 관련된 업무까지도 포괄하고 있었지만, 신라의 전사서는 국가제사만으로 한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제사는 유교적 예제에 입각한 체계였다. 신라나 일본에서는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온 기존의 전통적인 제사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의 제사체계인 대·중·소사 편제를 일면 수용하면서도 그 내용과 편성은 각 사회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釋奠이었다. 당에서의 석전은 중사와 소사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신라와 일본에서는 석전이 국가제사로 편성되어 있지 않다. 신라나 일본에서 석전이 국가제사로 편성되지 않은 근본적 이유는 신관념의 상이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당의 제사체계가 황제의 인간으로서의 지위, 혹은 관료 지배의 정점에 위치한 황제라는 것에 기반을 두었다면, 일본은 신성함에 의한 초월적 지위를 가진 천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국가제사는 천신, 지기에 한정된다. 신라의 경우는 관료제나 법에 기반한 왕의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신성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안되는 사회적 조건을 반영한 것이었다. 천신, 지기, 인귀에 대한 제사가 국가제사로 편성이 되어 있지만, 신성성이 배제된 先聖·先師는 제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즉 신라는 중국의 문물과 제도를 통해서 유교적 예제를 수용하고 있으며 유교적 통치이념에 기반한 국가체제를 지향하지만, 그 근간에는 여전히 하늘에 의한 보증이나 신이함에 기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신라의 제사체계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succeeded King Jinheung as the kingdom was strengthened and the territory of the Han River was stabilized. In this paper, we analyzed in detail the Battle of Daejoguryo in the Jinpyeong Kingdom of Silla.
    Silla blocked two attacks against the Adansung and Bukhansan in the 590s from Goguryeo. And in 604, Bukhansanju was re-established to stabilize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Goguryeo attempted a roundabout attack, and in 608, it occupied the northern border of Silla and the Woomyeongsanseong.
    However, Silla occupied 500Ri changes to Goguryeo before 614 using the Goguryeo-Su War, and recovered much of the territory it secured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In addition, Silla occupied the Nangbiseng of Goguryeo in 629 in order to secure the northern part of the Han River in a stable.
    Silla stabilized the territory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sea transportation route to China through the Battle of Goguryeo. In the end, this battle of Goguryeo in the King Jinpyeong is important in that it has become a cornerstone of Goguryeo's de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