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尙古堂 金光遂의 古董書畵 趣味와 繼承에 대하여 (A Study of Sanggodang Kim Gwang-su’s Genealogy and His Mania for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2
58P 미리보기
尙古堂 金光遂의 古董書畵 趣味와 繼承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46권 / 145 ~ 202페이지
    · 저자명 : 오상욱

    초록

    본고에서는 尙古堂의 家系와 당시 교유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18세기 고동서화가 갖는 의미와 그가 조선의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고동서화 수집가로 알려진 김광수는 명나라 尙古 華珵(1438~1514)을 私淑하고 본받았다. 好古에 마음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벼슬을 버리고 유불도[三敎]에 몰두한 것과 고동서화를 소장하고 감상하는 공간을 따로 마련한 것들을 비교해보면, 그는 화정을 닮아가려하였다. 그리고 수집벽은 가문과 부친 金東弼(1678~1737)의 영향을 받았고, 조선후기 고동서화의 취미에 대해서 후대에 여러 문인들에 끼친 영향은 실로 컸다. 李德履, 南泰寬, 李匡師, 李德懋, 柳得恭, 朴齊家, 徐常修, 李廷燮 등의 문인들에게 고동서화의 취미를 유행시키고 전파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나아가 「청명상하도」라는 서화를 통해 朴趾源, 李德懋, 洪大容, 李東山, 趙榮祏, 金昌業, 曹命采 등 고동서화의 취미 소장자를 밝히고, 훗날 「청명상하도」가 서상수에게 계승되었듯이 지식층의 고품격문화인 고동서화 취미를 계승한 것에 큰 공이 있다.
    18, 19세기에 많은 수집가와 감식 전문가들이 등장하지만, 고동서화 개척자 겸 수집가이면서 옛것에 탁월한 재주와 취미를 겸비한 자는 金光遂였다. 특히 그는 서화 그리고 청동 골동품을 소장하고 수집하는 癖이 있었는데, 그의 호 ‘尙古堂[옛 것을 숭상하다]’을 보면 얼마나 옛것을 좋아하였는지를 단적으로 잘 알 수 있다. “세상 모두가 나를 버렸듯이 나도 세상에 구하는 것이 없다. 그러나 내가 風雅를 선양하여 태평시대를 서로 이어놓음으로써 300년 조선의 풍속을 바꾸어놓은 일은 먼 훗날 혹시라도 나를 알아주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며 스스로 300년 조선의 풍속을 바꾼 일, 즉 조선후기 문인들에게 고동서화 수집벽으로 확실하게 각인시킨 김광수였다.
    18세기 고동서화가 갖는 의미는 골동품을 단순한 사치품으로 여기지 않고, 선인들의 고아한 格調와 韻致가 깃든 高玩品으로서, 性情과 好古의 趣味를 길러주고, 風流와 情趣 있는 생활을 느끼게 하는 媒介物이었다. 또 단순한 수집보다는 그 眞髓를 향유할 수 있는 안목과 진위를 가릴 수 있는 정확한 감식력을 갖출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고동서화의 완숙한 취미를 위해서는 충분한 수집욕과 소장욕이 필요하며, 문인 취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전개되었던 고동서화의 수집에서 김광수라는 인물이 여러 고동서화를 소장하고서 문인들 사이에 볼거리로 제공하고, 함께 감상하면서 고동서화에 대한 인식은 더욱 높아져 갔다. 나아가 고동서화 취미는 한층 豊饒해졌고, 문인들의 격을 높이는데 일조하였으니, 상고당이라는 고동서화 수집가의 작은 행동이 조선의 문인생활에 큰 변화를 일으켰으며, 고동서화 취미 유행에 있어 교두보 같은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ill explore the meaning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will be placed on the collector Sanggodang Kim Gwang-su(1699-1770) and the influence he had on the literary men with whom he interacted.
    Kim Gwang-su, well known in the late Joseon as a collector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ook the Ming literatus Hwajeong (Hua Cheng 華珵, 1438-1514) as his model. His decision to resign his office, immerse himself in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enjoy antiquities and establish a separate place in which he could both store and appreciat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was modeled on Hwajeong’s life. His mania for collecting was probably influenced by his father Kim Dong-pil (1678-1737). Kim Gwang-su in turn influenced future generations by his taste in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particular, his mania was taken up by Lee Deok-ri, Nam Tae-gwan, Lee Gwang-sa, Lee Jeong-seop, Lee Deok-mu, Yu Deuk-gong, Park Je-ga, and Seo Sang-su. The painting Spring Festival along the River (cheongmyeong sanghado) made a great contribution by transmitting high cultural tastes to intellectuals such as Seo Sang-su as well as Park Ji-won, Lee Deok-mu, Hong Dae-yong, Lee Dong-san, Cho Young-seok, Kim Chang-eop and Cho Myeong-chae.
    Among many collectors and connoisseur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Kim Gwang-suwas known as a pioneering collector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o had remarkable taste. In addition to th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lready mentioned, he also collected bronze antiquities. His pen name, Sanggodang (Hall of Reverencing Antiquity), reflects this interest. His collecting mania changed 300 years of literati custom. He commented on this himself, saying: “Just as the entire world abandoned me, so I have nothing to seek from the world. But someone far in the future will probably recognize me for changing three hundred years of Joseon customs by taking the lead in connecting peaceful eras.” The antiques were regarded not only as simple luxuries but also as works of art transmitting the nobility and refinement of their predecessors, which served to help people develop their character, arouse their interest in enjoying old items and provide refined tastes and an elegant life. Emphasis was placed on training artistic judgment in enjoying the essence of the art and on developing a correct appreciation in ascertaining the truth rather than simply collecting items. A strong desire to collect and possess items was required to obtain maturity in taste with regard to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xcept for Kim Gwang-su, almost nobody had collected and appreciated paint, calligraphic works, and antiquities on the basis of wide-ranging knowledg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he set off a boom for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Joseon period. He served as a bridge, connecting contemporary literati with th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at had come into fashion. It is a considered opinion that the simple fact of Kimg Gwang-su’s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ade a huge difference in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