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oudang (素宇堂) Historic House Byeoldang Garden in Uis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2
17P 미리보기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oudang (素宇堂) Historic House Byeoldang Garden in Uiseong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25권 / 1호 / 49 ~ 65페이지
    · 저자명 : 한해영, 임의제, 노재현

    초록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reation period and creators of Soudang historic houseByeoldang (Annexe) Garden (素宇堂古宅 別堂庭園, Unification as ‘SB Garden’ from now on) located in Uiseong-gun,Gyeongsangbuk-do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urvey, and establish the construction style and value of thegarden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its spati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d garden desig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study, field survey, and comparative review. Thearchitectural history of SB Garden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Soudanggotaekand the visual and planting design characteristics of SB Garden were derived through field survey. Also the form and styleof SB Garden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Japanese garden style cases, and Japanese gardenscreated in Korea during the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SB Garden was built between 1890 and 1920,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arly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by Lee Jang-seop (1854-1907) and Lee Hong (1887-1972). Comprehensively consideringthe form of its small hills, the shape of the pond and the introduction of yarimizu, the presentation of oddly-shaped stonesand stone structures (stone settings), the introduction of stone bridges and stone lanterns, the strolling route and steppingstones, and the tree species introduced and their planting methods, the hills of SB Garden are different in form andtechnique from seokgasan created in Korean traditional gardens. Through the hills, the intention of making a garden isdetected, with the motif of “garden of cranes and turtles.”Conclusion: The foundation from which SB Garden can be considered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s very weak, and thisgarden is evaluated as a modern garden completed by introducing a Japanese garden style in modern times. Specifically,SB Garden is considered to be a stroll-style garden that enables users to appreciate it by connecting the three gardens withstepping stones and stone bridges, including the garden of cranes and turtles (a sort of pond garden), the tea gardencentered on the Byeoldang (Annexe), and the stone ga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