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六堂 崔南善의 『三國遺事』 인식과 「三國遺事 解題」 (A Study on Yukdang(六堂) Choi Nam-Sun(崔南善)'s Recognition over 『Samgukyusa』 and 「Samgukyusa Interpreta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8
42P 미리보기
六堂 崔南善의 『三國遺事』 인식과 「三國遺事 解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5호 / 35 ~ 76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육당 최남선(六堂 崔南善, 1890~1957)의 『삼국유사』 인식과 그의「삼국유사해제」에 대해 검토한 글이다. 최남선은 어린 시절부터 고전과서양문물을 접하였다. 그는 일본 유학 이전부터 단군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있었고, 일본 유학 이후에는 『삼국유사』를 재발견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과 문화이식은 일련의 「단군론」 기술과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 서술로 이어졌다. 최남선의 「해제」는 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을 뒷받침하는 주요한 논설이며,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 ‘전범’이자 ‘전형’이 되었다. 그는 『삼국유사』의 재발견을 통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여 불함문화권을확충하려 하였다.
    최남선이 단군을 우리 역사의 구심으로 삼은 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가 단군을 불함문화권의 원심으로 확산시킨 것은단군의 초점을 흐리게 한 근거이기도 하였다. 최남선은 우리의 많은 고전 중에서 특히 『삼국유사』에 집중하였다. 그것은 이 텍스트가 머금고 있는 민족의식과 문화의식 및 단군의 기록과 신화의 원천 때문이었다.
    그는 이들 민족의식과 문화의식을 대립의식으로 제고시켰고, 단군의 기록과 각국의 신화를 일제에 맞서는 정치적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최남선의 고대사에 관한 일련의 집필은 일제의 문화정치에 맞서는 전략이었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전술이었다. 하지만 그 역시 그 전략과 전술에 휘둘린 감이 없지 않았다. 결국 그는 근대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구도가 제국주의의 길항구도 속으로 편입되자 친일로 기울어졌고 스스로친일행위를 정당화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최남선의 역사 복원과 문화 민족의 열망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표출되었다. 그리고 여러 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의 입론을 통해 확장되었다. 그는 대립의식을 통해 문화민족을 자각하려 하였고 역사의식을 통해 신화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이 수립될 수 있었던것은 『삼국유사』와 단군과 가야의 발견에 의해서였다. 이 발견을 계기로그가 쓴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는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한 ‘모범’이 되었다. 그 이후 『삼국유사』 번역자들은 저마다 육당의 「해제」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번역자들은 육당의 「해제」보다 더 길게쓰거나 또는 더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 혹은 그 「해제」에 전거를 대면서 그에게 위임하려는 태도까지 생겨났다. 결국 번역자들은 『삼국유사』 의 전모를 한 눈으로 또렷하게 엿볼 수 있도록 「해제」를 작성해야만 했다. 그러다 보니 ‘해제’ 간에 상호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최남선은 『삼국유사』에 대해 “조선 상대를 혼자 담당하는 문헌”이며 “조선의 생활과 문화의 근원(源頭)와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것은 오직 이 책이 있을 따름이다”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의 유전인자를 고스란히 간직한 보물 창고이다. 여기에는 민족 동질성의 인자인 언어 문자와 역사 문화로부터 철학 사상 및 예술 과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최남선은 『삼국유사』가 민족공동체와 역사공동체의 근간이자 민족과 역사의 회복으로 나아가는 이정표이자 길잡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삼국유사』의 핵심과 특장을 「해제」 속에 잘 정리하여 한민족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인식틀을 확보해 놓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Yukdang Choi Nam-Sun's recognition over 『Samgukyusa』 and 「Samgukyusa Interpretation」. He experienced the classic and western culture from the childhood. He had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Dangun prior to the study aborad in Japan. After returning from Japan, he rediscovered 『Samgukyusa』 and restored Dangun and history.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was led to the description of 「Dangun Theory」 and long 「Interpretation」 about 『Samgukyusa』. 「Interpretation」 of Choi Nam-Sun was a main editorial to support his 「Dangun Theory」 and 『Buddhist Culture Theory』, After that, it became the ‘standard’ and 'tradition' of 'interpretation' of 『Samgukyusa』. He tried to enlarge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by restoring Dangun and history through the rediscovery of 『Samgukyusa』.
    Choi Nam-Sun's selection of Dangun as the center of Korean history was very meaningful. On the contrary, his intention to enlarge Dangun as the center of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was the basis to blur the focus on Dangun. Among many classics, he especially focused on 『Samgukyusa』. It was due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origin of mythology contained in the text. He reconsider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used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mythology of each country as the political strategy to fight against Japan. Choi Nam-Sun's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ancient history was the strategy against the cultural policy of Japan and the one to improve th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he was shaken by the strategy and tactic. After all, as the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modern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s biased to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imperialism, he became the pro-Japan collaborator and adhered to the position to justify the pro-Japan activity.
    Choi Nam-Sun's aspiration for history recovery and cultural people was expressed through 『Samgukyusa』 and it was enlarged through various arguments of 「Dangun Theory」 and 『Bulham Cultural Theory』. He tried to enlighten the cultural people through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tried to go beyond the mythology th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could be found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Samgukyusa』, Dangun and Gaya. Because of the discovery, the long 「Interpretation」 about his 『Samgukyusa』 became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 about 『Samgukyusa』. After that, the translator of 『Samgukyusa』 should pay attention to Yukdang's 「Interpretation」 about 『Samgukyusa』. Translator had the obsession thought to write long or better 「Interpretation」 than Yukdang's one and the attitude to assign it to Yukdang by citing the authority of 「Interpretation」. After all, the translator should prepare 「Interpretation」 in the way that he shows the whole story of 『Samgukyusa』 at a glance. It was connected to the mutual effects among 'interpretations'.
    In 『Samgukyusa』, Choi Nam-Sun said, "Only the book is responsible for the area before Joseon Dynasty and shows the origin and old form of Joseon's life and culture." As he said, 『Samgukyusa』 was the treasure warehouse containing the gene of Korean people. Here, the factor of people's homogeneity ranging from linguistic character to history, culture, philosophy, art and science is contained. Like that, Choi Nam-Sun recognized 『Samgukyusa』 as the milestone and guide to go to the recovery of people and history as well as the origin of national community and historical community. He arranged the key and characteristics of 『 Samgukyusa』 in 「Interpretation」 wel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secure the recognition fr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