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당비파·향비파 사용양상 고찰 및 교육 적용 (A Study on Use Patterns of Dangbipa and Hyangbipa in Joseon Dynasty and Educational Applica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2
31P 미리보기
조선조 당비파·향비파 사용양상 고찰 및 교육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1권 / 1호 / 97 ~ 127페이지
    · 저자명 : 임미선

    초록

    본고는 한국에서 사용된 비파에 대한 연구가 주로 형태적 관점에 치중된 한계를 인식하고, 당비파와 향비파의 쓰임에 대하여 비교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당비파와 향비파에 대한 사용 양상에 대한 비교적 관점에서의 고찰은 시대별 음악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사적 관점의 흐름에서 논하였다. 비교 관점에 대한 논의는 구체적으로 내용 파악이 가능한 조선조를 중심으로 살폈다. 논의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선 전기에 당비파는 제사악의 등가와 헌가에 모두 쓰인 반면, 향비파는 주로 헌가(또는 전정악)에만 쓰였다. 연례악에서 당비파는 당악과 향악에 모두 쓰인 반면, 향비파는 향악에만 쓰였다. 이러한 연례악에서의 용도 차이는 『악학궤범』에서 당비파 조현법이 당악․향악에 모두 있는 반면, 향비파 조현법은 향악에 쓰인 차이와 일맥상통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정헌가, 정재 반주악대 그리고 전정고취에는 2종의 비파가 모두 쓰였으나, 전후(殿後)에 배설된 전후고취와 이동식 고취악대인 전부고취․후부고취에는 당비파만 쓰인 차이도 나타났다. 제사악이나 연례악에서 비파의 쓰임에는 당비파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악대의 편성에서 비파 수량이 감소되는 변화와 함께 종묘 등가에 향비파가 없어지는 변화가 생겼다. 경모궁제례악에서 당비파는 등가에만, 향비파는 헌가에만 편성되었다. 연례악의 경우, 전정헌가와 전정고취에 향비파가 쓰이지 않는 변화가 나타났다. 요컨대 전기에 비해 향비파의 쓰임이 현격하게 줄었다. 회화자료에서는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잔치에 당비파만 쓰인 사실이 보이고, 17세기 이후에도 그러한 현상은 일관되게 나타난다. 또한 18세기 회화자료에서도 민간풍류에 쓰인 당비파의 면모도 나타났다. 조선 후기에 비파는 당비파를 중심으로 명맥이 유지되었던 것이다.
    음악사 측면에서 향비파보다 당비파의 쓰임이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점을 고려할 때, 당비파에 대한 교육적 활용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한국․일본 3국이 모두 사용한 당비파, 향비파를 통해서 3국의 음악문화교류의 일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과거에 존재한 악기로 그치지 말고 실제 사용된 측면을 악대, 악곡과 관련지어 다룬다면, 국악사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limitations caused by the lack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ipa used in Korea, and to consider the use of Dangbipa (four-stringed Tang mandolin) and five-stringed Hyangbipa in a comparative context.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use patterns of the Dangbipa and the Hyangbipa in a comparative context would be likely linked to periodic changes in music,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se two instruments from a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omparative context related to these two instruments was focused on the Joseon period and modern and postmodern periods when specific discussions could be conduct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an orchestra for ritual ceremonies had the Dangbipa and the Hyangbipa. In comparison, there were only the Dangbipa during the later period of Joseon. It was found that whereas the Dangbipa was continuously used throughout the Joseon era, Hyangbipa came to be used less and less until it was eventually only used during memorial services. Such continuous use of the Dangbipa was shown not only in Royal court music but also in private performance, Pungryuba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use of the Hyangbipa began to ebb away and the use of the Dangbipa increased remarkably. In short, Bipa survived mostly due to the use of the Dangbipa during the latter days of Joseon.
    Until now, regarding the Bipa, music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Hyangbipa as part of the representative instruments of three stringed instruments and three wind instruments in the United Silla era. Moreover, those textbooks reveal only fragmentary knowledge about the Hyangbipa and there is almost no mention of the Dangbipa. As shown in this study, special consideration should be afforded t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Dangbipa based on the fact that the use of the Dangbipa was more important than the Hyangbipa from a musical history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Dangbipa and Hyangbipa that were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it may be possible to understand music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f only partially. To examine and consider the actual use of these instruments in connection with musical bands and musical pieces, instead of just thinking about them as instruments that existed in the past, will be very helpful in enlarging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