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명문가의 재도약 과정과 향촌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한 고찰 - 강릉거주 안동권씨 청풍당淸風堂 가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emergence Process of the prestigious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Role in the Rural Society - Focusing on the Cheongpungdang Family of Andong Kwon Clan living in Gangneu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11
26P 미리보기
조선조 명문가의 재도약 과정과 향촌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한 고찰 - 강릉거주 안동권씨 청풍당淸風堂 가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江原史學 / 39호 / 163 ~ 188페이지
    · 저자명 : 임호민

    초록

    본 논문은 조선전기 강릉지방에 입향한 안동권씨 추밀공파 가문이 조선후기까지 명가로 그 지속성을 유지해 온 배경과 과정, 대내외적인 사회적 지위 유지의 지속성, 재도약의 배경과 과정,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입향 초기 안동권씨 추밀공파는 통혼을 통해 가문을 성장시켰고, 이후 권연 등의 출사는 가문을 한 단계 더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에도, 가문의 지역적 기반은 지역 내 명문가와의 통혼 확대와 출사, 그리고 향촌사회의 활약을 통해 지속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통혼과 같은 족적 토대는 유지하였으나 과거 합격자 배출의 단절은 가문의 위상을 정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18세기 후반, 정체되었던 명문가가 재도약 할 수 있었던 배경은 권계학과 그의 아들 권한위의 출사, 그리고 그의 아들 권한옥과 손자 권도와 권박의 사마시 입격과 출사였다.
    특히 관직에서 퇴임한 후 낙향한 권계학은 족적 기반만 유지하던 가문의 침체기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권계학과 권한위는 중앙 정치 무대에서는 청렴결백한 관료로 인정받았다. 당시 강릉 향촌사회의 향론은 율곡-우암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적 질서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리학적 명분론 강조되었던 조선후기 청풍당 가문 종인들은 노론 성향의 기조로 보이면서도, 현실적인 문제에 있어서 실리적인 측면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dentifi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ndong Kwon family, who entered Gangne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aintaining its continuity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ersistence of maintaining internal and external social statu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re-emergence, and the role of the community.
    In the early days of entering the village, Andong Kwon's Privy Gongpa grew his family through marriage, and after that, the employment of Kwon Yeon and other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grow the family to the next level.
    Since then, the regional foundation of the family has maintained continuity through the expansion of marriage with prestigious families in the region, employment, and the activities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although it maintained the same foot foundation as Tong-hon, the disconnection of successful applicants in the past resulted in stagnating the status of the family.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background behind the re-emergence of the stagnant prestigious family was Kwon gye-hak and his son Kwon han-wi, and his sons Kwon han-ok, Kwon do, and Kwon bak's entry into Samashi. In particular, Kwon gye-hak, who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leaving offi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he stagnation of the family, which maintained only the foundation of the clan. Kwon gye-hak and Kwon han-wi, were recognized as clean bureaucrats on the central political stage. At that time, the local theory of Gangneung Hyangchon society emphasized the Neo-Confucian order leading to Yulgok-Uam.
    However, the members of the Cheongpungdang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emphasized this Neo-Confucian justification, seemed to have a Noron tendency, but also emphasized practical aspects in practical ma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江原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