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신무의 신당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 (Religious Implications of Sanctum of Gangsinmo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강신무의 신당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9호 / 315 ~ 352페이지
    · 저자명 : 최진아

    초록

    본 연구는 강신무의 항시적 성소(聖所)인 신당(神堂)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강신무의 신당은 영원불변의 신성성을 지니는 공간으로서, 그 구조는 과거부터 일정한 틀을 유지해 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신무 신당의 구조는 현재보다 과거에 여러 다양한 구조가 존재해 왔으나, 현재는 오히려 그 유형이 단순화되고 있다. 신당은 곧 강신무의 몸주신의 성격을 반영하고, 또한 그 신성성을 표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 안에 배치된 상징물로는 신의 모습을 가시화한 신체(神體)와 점구류 등이 존재한다. 이 상징물은 신성성(神聖性)이 부여된 성물(聖物)로 인식되어, 일반인들은 함부로 만지거나 다루어서는 안 되는 금기의 대상으로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곧 신의 의사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신당은 곧 신직 매개 및 신과 인간이 상호교류가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며, 그 공간 안에서 신을 상징하는 상징물에 기원하고 또한 상징물을 매개로 하여 신의 의사를 전달받기도 한다.
    무당(巫堂)은 무(巫)가 신을 위한 제를 지내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그 명칭 안에 종교공간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무당과 신당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강신무에게 신당은 신성공간으로서 정화의례의 공간이며, 또한 종교인으로서 신을 알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은 신직을 수행하는 매개자로서의 강신무에게는 자신에게 받은 권위를 신앙자에게 현시적(顯示的)으로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하며, 신앙자에게는 신과 상호소통이 가능한 종교공간으로 활용된다. 신앙자는 신당을 찾은 목적에 따라 그 직능에 해당하는 신격에게 기복발원을 행한다. 그 대상신은 출산과 수명 그리고 재수와 재복 등과 같은 직능을 지니는 신이 주를 이룬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강신무는 자신의 몸주신 외에도 그와 같은 직능을 지닌 신의 상징물을 신당에 봉안해 놓는다. 또한 신앙자는 강신무를 통해 신의 메시지를 전달받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강신무와 단골관계를 맺은 신앙자는 명다리라는 매개물을 통해 수명연장을 기원하기도 한다. 즉, 신당은 사제자와 신앙자 모두 신을 만나는 곳임과 동시에, 신앙자에게는 巫를 매개로 하여 신과 교류가 가능하게 해 주는 성소이기도 하다. 그러한 맥락에서 강신무의 신당은 여러 다양한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종교공간이라는 주장이 가능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religious implications that the sanctum of Gangsinmoo(the possessed shaman) holds.
    As a place for permanent and unchangeable sacredness, the sanctum of Gangsinmoo seems to have maintained a certain structure from the pastWhile the structure of the shrine was various in the past, now it has increasingly simplified these days. The shrine also reflects the characters of Gangsinmoo’s Mom-Ju-sin (몸주신, the Owner God). Symbolic icons located in the sanctum include the Body of God (神體) which visualizes the God, and Jeomguryu (占具類). These icons act as the medium which connects the shaman with the Owner God and express the sacredness of the Owner God.
    Moo-Dang (the shaman) means the house (Dang) of Shamanism (Moo), and thus the name indicates a place for religious activity. For the shaman, the shrine is a place for sacredness and purification rites. It also serves as a place for the shaman to have an audience with the God as a religious person. In addition, the shrine explicitly exposes the dignity of the God to the shaman. The sanctum is also used as a religious place where a believer interacts with the God through shamanism activity. The believer visits the shrine and prays to one of the Gods based on the ability of the God. Those Gods mainly have the ability to control childbirth, longevity, luck and the good fortune in money. Sometimes the God’s message is delivered to the believer by the shaman through shamanism activity. Furthermore, a Dangol (a follower of the shaman) prays for longer life, using Myeongdari (a life bridge) as a medium. In other words, the shrine is not only a place both for the sham and believer to meet the God, but also a sacred place for the believer to communicate with the God through the shaman.
    In that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the shrine of Gangsinmoo is a religious place which has a variety of religious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