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溪 朴世堂의 使行 書信과 赴燕詩 (Park Se-dang (Seogye)'s Letters from an Envoy Trip and Poems for Emissary Trip to Peking (赴燕詩))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西溪 朴世堂의 使行 書信과 赴燕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37권 / 37호 / 115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본 논문은 1668년 연행에 나섰던 서계 박세당이 중형인 박세견에게 띄운 두 통의 사행 서신을 분석하는 절차로부터 개진되었다. 박세당은 사행 도중에 각기 북경과 산해관에서 중형에게 서신을 올렸던바, 편지의 내용은 서계가 남긴 『서계연록』 및 『사연록』과 대부분 일치하는 맥락이면서, 동시에 양종 연행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해 주는 측면도 존재한다. 특히 박세당이 느꼈던 북경에 대한 인상과 그곳 사족들에 대한 평가, 사절단 내부의 동정에 관한 정보, 사행 노정상의 경물에 대한 소회 등은 두 종류의 연행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내용으로, 사행 서신의 자료적 가치를 확인시켜 주고 있다.
    한편 박세당은 청에서 귀국한 직후에 곧장 양주의 수락산 기슭의 석천동으로 퇴은을 감행했으나, 은둔 이후에도 그가 소론계 내부에서 차지하는 상징적 위상은 심대한 수준이었다. 특히 박세당은 청으로 사행에 나서는 소론계 주요 인사들을 상대로 부연시로 전별을 표하는 계기를 빌려서, 자신의 대청인식을 전승하는 통로로 삼기도 하였다. 즉, 박세당은 남구만‧최석정‧최규서‧이홍적‧이덕성‧이탄‧박필성 등과 같은 인사들에게 강개한 어조로 ‘화이혼속’ 격으로 변모한 중화 문명의 현주소를 누차 학습시켰던 것이다. 박세당은 의로운 역사적 사건과 결부된 주요 공간물들을 환기하면서, 당시 중원의 현실을 개탄해 마지않았다.
    특히 박세당의 부연시 속에서 화표주는 한대 정령위의 화신인 학을 작품 속으로 호명케 해주는 상관물로 설정되어 있다. 박세당은 요동 구성과 신성 계열, 곧 원형 모티브로서의 화‧이의 분기점을 증명해 줄 시적 장치로써 신선으로 화한 정령위의 화신인 학을 누차 요청했던 것이다. 물론 박세당의 경우 시대에 따라 풍속도 변모할 수밖에 없다는 자체적 정당화 논리를 개발하였기에, 그가 창작한 부연시 속에 등장한 자객과 의인들의 의분이 復讐雪恥論으로 연장되지는 않았다. 이처럼 시적 창작 세계와 현실적 세계를 애써 변별코자 노력했던 박세당의 태도는 호곡 남용익의 경우와는 단연 대비되는 처사였다.

    영어초록

    Park Se-dang, who traveled in 1668 as an emissary, sent letters to his second eldest brother Park Se-gyeon from Peking and Sanhaegwan(山海關). This letter agrees in content to his recorded Seogyeyeonrok(西溪燕錄) but also includes what was not dealt with in YeonHangRok (Book of travel to Peking). Especially, Park's felt impression of Peking and perception of scholars there, expressed in this letter, confirm the data value of such emissary letters.
    Returning home, Pak Se-dang resigned from an office and delivered his poems for emissary to Peking(赴燕詩) to many people belonging to Soron(少論係), based on his experience of visiting Peking. These farewell poems were filled with fragments of Pak's formed China-centric theory everywhere. For example, Park understood the Old Castle and the New Castle of Liaodong as symbolic images that represented the original form of the ceaseless Sinic civilization and barbarous customs possessed by Ching, respectively. Besides, Park created some poems in an effort to call people's attention to historic articles such as a metal vessel(金臺) by connecting them to righteous persons.
    The crane of a pair of stone posts cited in Park's farewell poems for emissary to Peking was installed as a poetic device to prove the prototype of Sinic civilization. That is, Park tried stamping on the minds of people the diverging point between the sinic and barbaric through the crane, an incarnation of Jeong Yeong-wee(丁令威) who had allegedly become a Taoist hermit. However, Park Se-dang did not extend his righteous indignation to the argument of military chastisement on Ching by telling his world of poetic creation from that of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