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本 尊經閣 所藏 <養休堂集>의 판본 고찰 (A Study on the Yanghyudangjip Manuscript at Jongyeonggak in Japa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10
20P 미리보기
日本 尊經閣 所藏 &lt;養休堂集&gt;의 판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61호 / 159 ~ 178페이지
    · 저자명 : 전병철

    초록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그동안 실전된 것으로 알려진 『養休堂集』이 日本의 尊經閣에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을 학계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양휴당집』의 체제와 구성내용이 중간본인 『玉溪集』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판본적 의미를 구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양휴당집』 3권과 『옥계집』 원집 5권을 대조해본 결과, 중간본을 간행할 때 초간본에서 삭제한 내용은 寄金都事書라는 편지 1통 뿐이다. 그리고 詩 32수, 賦 3편, 表 1편, 祭文 18편, 墓誌銘 1편, 墓碣記 1편, 疏 1편, 啓 2편, 書 1통이 새롭게 증보되었다. 이처럼 『양휴당집』은 『옥계집』에 비해 寄金都事書라는 편지 1통이 더 수록되어 있을 뿐, 작품의 수량이나 내용의 측면에 있어서는 중간본보다 새롭게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러한 미묘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간본과 중간본을 편찬한 사람들 간의 학통 의식에 변화가 있었다. 초간본인 『양휴당집』은 1585년에 간행되었으므로, 남명학파의 위상이 퇴계학파에 뒤지지 않았다. 그런데 중간본인 『옥계집』은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해 남명학파가 정치적으로 몰락한 이후인 1632년에 중간되었으므로, 퇴계를 높이고 남명을 낮추려는 의도에서 만사의 제목을 수정한 것이다. 둘째,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에 DB화 되어 있는 『옥계집』 원문에는 상당 부분 빈칸으로 표시되어 있다. 『옥계집』의 원본 자체가 마모되어 판독할 수 없는 글자들을 빈칸으로 표시한 것이다. 그러나 『양휴당집』에는 판독할 수 없는 글자가 없으므로, 여기에 근거해 『옥계집』의 원문을 보완할 수 있다. 셋째, 『양휴당집』의 글씨체는 『남명집』 초간본과 매우 유사하다. 『남명집』 초간본의 경우, 許從善(1563-1642)이 글씨를 썼다. 두 문집의 글씨체를 대조하는 작업을 통해 남명학파 학자들의 문집 판본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양휴당집』에는 판목을 새긴 刻手를 표시하는 글자나 문양으로 판단되는 것들이 있다. 이 글자와 문양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여 조선 중기에 활동한 각수들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to report to the academic world that Yang- hyudangjip, which was previously known to be in existence, has been preserved at Jongyeonggak in Japan. Further, it aims to bring light to the significance of its text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ontent of Yanghyudangjip and Okgyejip, which is the revised edition. Comparisons of the 3 Yanghyudangjip books and the 5 Okgyejip books showed that when the revised edition was published, the only deleted content from the first edition was a letter called the Gigimdosaseo(寄金都事書). Also, 32 poems, 3 poetic writings (賦), 1 table, 18 funeral orations, 1 epitaph, 1 letter to the king (疏), 2 government letters to the king (啓), and 1 book were supplemented. Like this, Yanghyudangjip only had an additional letter included compared to Okgyejip and in volume or content, there was nothing new compared to the revised edition. However, despite these subtle differences, a few important meanings exist and they can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hanges in the scholastic mantles of the people who compiled the first edition and the revised edition.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585 when the status of the Nammyeong school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Taegae school. However, as the revised edition of Okgyejip was published in 1632, after the Nammyeong school had politically fallen due to the enthronement of InJo in 1623, the titles of everything were edited to raise the status of the Taegae school and lower that of the Nammyeong school. Second, there is a considerable number of blank spaces in the original text of Okgyejip, which is currently databased at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original copy of the Okgyejip was worn so texts that could not be read were marked as blank spaces. However, as there are no texts in Yanghyudangjip that cannot be read, the original text of Okgyejip can be supplemented based on it. Third, the writing style of Yanghyudangjip is very similar to the first edition of the Nammyeongjip. The first edition of the Nammyeongjip used the writing of Heojongseon.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collected works of Nammyeong school scholars should be made through comparisons of the writings of the two collections. Fourth, the Yanghyudangjip includes things that are judged to be letters or patterns that mark the engravers that worked on the woodblocks. Examinations of these letters and patterns should be progressed with to expand research on engravers who were activ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