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A Study on Iconography and Lay out of Chosa-Hall's Mural paintings in Pusok Templ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3
18P 미리보기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3호 / 85 ~ 102페이지
    · 저자명 : 박은경

    초록

    불전 장엄의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채색이나 그림으로 불전의 안팎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에 수많은 벽화와 단청이 전국 사찰 곳곳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그 이유는 특히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등과 같은 전란으로 인해 사찰 건축이 피해를 많이 입었으며, 이에 따른 벽화도 불타고 소실되어 버렸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목조건물을 해체하고 중수․보수되는 과정에서 벽체가 교체되면서 벽화가 유실되거나 혹은 벽화가 덧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려후기에 제작된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범․제석천 및 사천왕 벽화는 현존하는 사찰벽화 가운데 최고의 사례이자, 고려시대 유일한 불교도상 벽화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귀중한 벽화자산이다.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부석사는 화엄십찰(華嚴十刹)로도 알려진 유서깊은 명찰로, 영주시를 지나 봉황산 중턱에 둥지를 틀고 있다. 부석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로, 지난 해 2018년 6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사찰의 경내 주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위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조사당 건물이 자리한다.
    지금까지 부석사 조사당 벽화에 대해서는 부석사 및 조사당 수리보고서 등에서 언급되어 왔고, 제작기법이나 사천왕의 명칭 및 도상과 양식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조사당 벽화의 도상을 재검토하고, 그 배치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에 관해 기존에 명명되고 있는 존상명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불교미술의 방위관에 착안하여 배치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려 및 조선시대 사천왕상 배치형식이 작품에 따라 달라지는 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이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기준이 되는 향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적어도 통일신라 석굴암이나 고려시대 불화는 동향법(東向法)이 적용된 사례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석사 조사당은 본존이 남쪽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의 남향법(南向法)에 입각한 배치이다. 이 남향법은 조선시대에 보편적으로 많이 보이는 향법이나, 적어도 고려시대 부석사 조사당을 통해 남향법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이 주목시 된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당 사천왕벽화의 서방의 용 모티브의 등장이나 남향법 배치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원리에 의해 향법이 작용한다는 사실은 조사당 벽화 도상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decorating Buddhist halls is to adorn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s with colorings or paintings. Although numerous mural paintings and dancheong- a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re found in Buddhist buildings throughout the country, most of them were pain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temples were damaged and mural paintings were also burnt and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Mongo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ddition, many mural paintings were either lost or repaint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ir walls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pairing the temples' wooden buildings. In this sense, the Pusok temple's mural paintings of Brahma, Indra Sakra and the Four Dev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invaluable heritages in that they are not only the best examples of existing mural paintings but also the only example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Pusok temple, founded in the 16th years of King Munmu(676) by the Buddhist monk Uisang, is a historically distinguished Buddhist temple and also known as one of ten Avatamska temples. It is a branch temple of Goun temple, the 16th parish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temple has nestled in the middle of Bonghwang mountain after passing through Yongju city. Moreover, Pusok temple is currently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under the name of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ince June 2018. Passing through the main building of Pusok temple-Muryangsujeon, the Chosa-Hall is located a little above.
    Heretofore, previous researches on Chosa hall's mural paintings of Pusok temple have been mentioned in the repairing reports on Pusok temple and Chosa hall. In addition, these researches have been mainly dealt with production techniques, styles, icons and name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focuses mainly on reviewing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This article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names and traditional method of arranging direction and location on Buddhist art history. It seems that the layout of paint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standard direction, though there were various explanations on changing arrangements of the Four Deva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each art work. At least, Seokguram in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are the cases which apply the eastward method.
    However,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have been arranged based on the southward method in that the main Buddha status is facing south. It is important that this southward method is founded in the case of Chosa hall, Pusok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since it was a common method of arranging temples' hall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a new fact was founde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Western dragon motif and the southward arrangement of the Four Devas. Therefore, a certain rule influences on the Buddhist halls' direction and location, and this rule will be an important clue tha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Chosa-Hall's mural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