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伎伐浦 戰鬪와 羅唐戰爭의 終了 (The Gibeolpo Battle and the End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8
30P 미리보기
伎伐浦 戰鬪와 羅唐戰爭의 終了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46호 / 59 ~ 88페이지
    · 저자명 : 김병희

    초록

    필자는 나당전쟁 시기에 벌어진 기벌포 전투에 대해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새롭게 해석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리하여 학계에서 논쟁이 되어 온 설인귀의 행적과 관련된 문제들을 재검토하고, 전투의 전말과 나당전쟁의 종료 시점에 대한 당대의 인식이 어떠하였는가를 확인해보았다. 이에 대한 내용 및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기벌포 전투의 역사적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인귀의 행적은 『구당서』에서 상원 연간(674년 8월 ~ 676년 11월)에 유배를 간 상태라 하였지만, 이 기간 동안 당의 한반도 전선에 장수로 투입될 여지 또한 충분함을 살펴보았다. 특히 필자는 7세기 중・후반의 동아시아 국제정세를 고려할 때 설인귀가 천성 전투 이전 보다는 기벌포 전투 이후에 유배를 갔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였으며, 기벌포 전투가 실제로 발생한 시점은 675년 11월로 판단하였다. 필자가 그렇게 판단한 이유는 676년 2월에 당이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를 각각 요동고성과 건안고성으로 옮기면서 安東官을 맡았던 ‘華人’들을 모두 罷하였다는 『자치통감』의 기사에 그 근거를 둔다. 결국 기벌포 전투는 다음 해인 676년 초까지 지속되었으며, 설인귀 부대의 상륙전 승리 이후 크고 작은 22번의 교전이 있었지만 이를 신라군이 모두 승리하면서 곧바로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가 축출되는 쾌거를 이룬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나당전쟁의 마지막 전투는 676년 7월의 도림성 전투가 되지만, 도림성 전투 직후 나당 양국 간에 전쟁이 종료되었다고 인식한 것은 아니다. 신라의 지배층은 당시의 국제정세를 감안할 때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가 철수한 676년 2월부터 조금씩 전쟁이 종료되어 간다는 인식을 갖고 內治와 관련된 조치를 취해나갔지만, 양국 모두 나당전쟁이 종료되었다고 인식하게 된 계기는 681년 7월 문무왕의 사망과 신문왕의 즉위 때 조공・책봉 사절의 교환이 이루어지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681년에 벌어진 김흠돌 등의 모반 사건이다. 신라 사회에서 언제 당이 쳐들어올지 모르는 긴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었던 상태라면 이러한 사건의 발생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어찌되었든 김흠돌 등이 주도한 내란을 진압한 뒤 신문왕은 682년 정월에 당 고종이 파견한 사신들을 통해 책봉을 받은 다음 곧바로 신궁에 제사를 지내고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나아가 재위 기간 동안 신문왕은 각종 제도를 구축・완비하며, 증가한 인구와 넓어진 영토의 신라 사회를 효과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신문왕이 이와 같은 업적을 쌓을 수 있었던 원동력은 선왕인 문무왕 대에 있었던 기벌포 전투 승리의 영향과 나당전쟁이 사실상 끝났다는 당대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reinterpret the Gibeolpo(伎伐浦) Battle through reflecting in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of the War between Silla(新羅) and T'ang(唐). So the writer restudied Xue Rengui(薛仁貴)’s whereabouts at that time, and checked how the people that lived in those time realized the direction of the battle and the end point of the war. From these processes, the writer de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According to 『Old Book of T'ang(舊唐書)』, Xue Rengui was living in exile during the era of Shangyuan(上元, 674~676). However, the writer looked into the high possibility that he was a general of T'ang’s troops i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middle and late of 7th century, the writher made a conclusion that most likely, he was sent into exile after the Cheon-seong(泉城) Fortress Battle rather than before the Gibeolpo Battle. So the writer estimated the Gibeolpo Battle was started in November, 675 year. Since, according to the article of 『Zi-Zhi-Tong-Jian(資治通鑑)』, the government of T'ang headed the chinese officers of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安東都護府)' to stop working in Feburary, 676 year while moving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 and 'the Ungjin Commandery(熊津都督府)' to each the old fortress of Liaodong(遼東) and Geonan(建安). Finally, the Gibeolpo Battle lasted till the early of 676 year. And Xue Rengui’s troop won first amphibious warfare. However, after the first win, his troop defeated in 22 battles in a row by the troops of Silla. There’s a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Silla banished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 and 'the Ungjin Commandery' from the territory of Silla.
    Accordingly, the last battle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was the Dolim-seong(道臨城) Fortress Battle. However people who lived in those times did not recognize that the war was finished. The ruller class of Silla started to recognize that the war was ending after the expulsion of 'the Protectorate- General to Pacify the East' and 'the Ungjin Commandery' in Febuary, 676 year. And then they did follow up on that. The time that two countries recognized the end of the war was when these countries sent and received the envoys of the other country because of the demise of King Munmu(文武王) and the enthronement of King Sinmun(神文王). The Kim Heumdol(金欽突) revolt in 681 year is a case in point. If the war was not finished, the revolt could not break out.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King Sinmun was proclaimed as King by the T'ang’s envoy that Emperor of Gaozong(高宗) of T'ang sent. After the ceremony, the King hold a performing rite at a shrine and pardoned the prisoners. And he established the foundation that efficiently ruled Silla that had the extended territory and increased population during his reign. The mainspring of his achievement proceeded from the influence of the victory of the Gibeolpo Battle and the awareness of those days about termination of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