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광사 국사전과 진영당의 진영 봉안 방식 (The Enshrinement of Portraits for the High Priest in Kuksajeon and Jinyeongdang of Songkwangs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8
36P 미리보기
송광사 국사전과 진영당의 진영 봉안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49호 / 47 ~ 82페이지
    · 저자명 : 이경미

    초록

    진영을 봉안하는 건물은 진영을 예경하는 전통과 궤를 같이 하지만 개별 진영의 실내봉안 방식을 주제로 삼은 연구는 드문 편이다. 송광사 역시 예외는 아닌데 현재 사찰안에는 국사전과 진영당(풍암영각) 두 곳에 각각 고승 진영을 봉안하고 있다. 진영을봉안하는 건물이란 공통점을 지녔지만 건립시기와 봉안된 진영 게시방식에 있어서는다소 차이가 드러난다.
    국사전은 후대의 변화가 세부 형태에서 나타나나 현 건물은 건축양식과 기록으로 미뤄 1501년에 중창한 골격을 토대로 현재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내부는 개방된공간을 마련하고 후면과 좌우 측면 벽에 16국사의 진영을 걸어 봉안하였다. 진영 게시시설은 기둥 상부 주두와 주두 사이에 가는 횡재를 걸고 이 횡재에 철물을 박고 진영위에 달아낸 둥근 고리로 건 간소한 방식으로 하부 역시 간략한 진영단을 설치하였다.
    진영 상부는 일종의 보개 형식을 설치하였으나 기법은 소박하다. 진영 하부 진영단의선반 방식은 1990년에 수리하면서 새로 설치한 것으로 원래는 더 간소한 선반만 마련된방식이었다.
    진영당(풍암영각)은 소박하면서도 세부 치목으로 미뤄 진영을 모신 동시기 세 칸 규모건물에 비해 격식이 느껴진다. 1918년 이전에 어떤 방식으로 태고 이하의 진영을 봉안하였는지 알 길이 없다. 다만 지금은 세 칸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실내에 35축에 달하는진영을 모시기 위해 대들보 아래에 ㄷ자형 판벽을 설치하고 간소한 진영단을 둔 봉안방식을 채택하였다.
    국사전처럼 이렇게 간소한 방식으로 진영을 게시한 시기는 언제부터였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부석사 조사당에서 찾아진다. 두 건물은 시차가 200여 년이나 벌어지지만내부 진영 봉안 방식에서 공통점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다른 사찰의 진영을 모신 건물에관한 분석 자료가 축적된 뒤에 확정할 수 있겠지만, 일단은 고려말의 부석사 조사당에서갖추었던 건축규범이 조선초기 내내 유지 계승되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해석해도큰 무리는 없다고 판단된다. 진영당은 기본 방식은 선반형을 따르고 있지만 부석사 조사당이나 송광사 국사전에서 보는 운형 초각을 두고 드림을 장식한 방식과는 크게 차이나는 점인데, 비좁은 공간에 많은 진영을 봉안하는데 따른 불가피한 조처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ough Kuksajeon and Jinyeongdang of Songkwangsa shared the same purpose of enshrining the high priest, there are apparent differences of enshrinement between the two buildings.
    Kuksajeon believed to remain the original building fram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year of rebuilding, 1501. Sixteen portraits of the high priest were hanged held by round rings to the long wooden bar without any ornaments and lined up against the wall. There also were simple hanging ornaments upside each portrait, which intensified the whole enshrinement with simple images. There also provided lower shelves at the bottom of the portrait. Refurnished in 1990, the originals were believed to be simple in form.
    Jinyeongdang, which had the alternative name, Pungamyeonggak, was a plain building built in 1918. Though the building had only three bays, there were 35 portraits. To enshrine the 35 portraits, a special way of enshrinement was designed. Two wooden fake walls were built under the cross beam, which created enough space on the enshrine wall.
    The simple method of enshrinement of Kuksajeon was found in Josadang of Buseoksa which was built in the 14th century. Although there was a time lag of two centuries, two buildings had the same method of enshrinement.
    It could be concluded attentively—albeit more related examples and evidence are needed—that the enshrining way of the late Koryeo Dynasty succeeded into that of the early year of the Choseon Dynasty. The way of enshrinement of Jinyeongdang succeeded the former two buildings with simple shelves, enshrining more than 35 portraits in a small building showed apparent differences. It was concluded that inventing fake walls under the beam and omitting the hanging ornaments were the results of the latter buil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