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溪 朴世堂의 律曆考證 一考 (A Study on Seogye Park Sedang's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the Ancient Chinese Calendar)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12
37P 미리보기
西溪 朴世堂의 律曆考證 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6호 / 491 ~ 527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박세당은 관직ㆍ인사ㆍ형벌 등의 분야를 포함한 다수의 고증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번의 논의에서 취급한 율력고증 또한 중요한 그 세부적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박세당의 율력고증은 주로 채침의 曆註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차원에서 개진되고 있으며, 자연 『서집전』에서 논급된 전적들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선행되었다.
    박세당이 시도한 율력고증은 역상개념 정의에서 출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박세당은 역 개념은 채침의 정의를 수용했으나, ‘상’ 개념은 도덕적 차원에서 재해석하였고, 이는 상 개념 속으로 당대의 과학적 성과를 유인한 채침의 해석방식과는 구분된다. 이러한 사실은 박세당이 형성한 과학인식의 일단을 노정해 주는 사례로서, 결국 역상개념과 결부된 율력고증 에도 일정한 파급력을 행사하는 차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박세당은 본격적인 율력고증 작업에 착수하기에 앞서서, 채침의 해석을 축조 검토하고, 그 특징적인 사항들을 몇몇 항목으로 압축해 두었다. 이들 항목 중에서 박세당은 채침의 고증입론인 약칭 ‘하나라 인월 기수설’을 우선적인 변파 대상으로 설정했다. 12월[인월] 기수설은 “정삭은 고쳤으되 월수는 고치지 않았다.”라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일련의 고증 전거들에 확립된 채침의 고증지론이었다. 채침은 夏代 이후로 중국의 역대 왕조가 남긴 관련 기록을 『사기』를 통해서 확인하는 한편, 동시에 『맹자집주』와 『시경』을 원증하는 방식 등을 통해서 자신의 고증입론의 정당성을 거듭 확신해 보였다.
    이에 박세당은 채침의 인월 기수설에 내포된 논리적 결함과 고증 전거상의 모순점을 동시에 변파하는 율력고증을 전개하게 된다. 박세당은 채침의 고증입론인 인월 기수설은 전거를 통해 稽驗할 수 없는 추론적 가설에 불과하며, 또한 월수가 바뀌면 정삭도 변개된다는 사실을 입증해 나갔다. 그 출발은 선군인 중임이 승하한 ‘사실’을 재음미하는 작업으로부터 심역되고 있었다. 박세당은 중임의 승하가 즉위와 복정, 사고의 예로 이어지는 연쇄적 계열의 사건들을 순차적으로 촉발시킨 최초의 계기적 사건으로 이해했다. 이 과정은 가칭 ‘우연 참회설’에 의해 보충되고 있다. 이 설은 12월 기수설에 미리 초점을 맞춘 채침의 고의성 짙은 고증입론을 해체시키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또한 박세당은 경전상의 선례를 통해서도 월수가 바뀌면 정삭도 변개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나아가 박세당은 채침이 원증한 전거들인 『시경』과 『맹자집주』를 검토한 결과, 그 증거 제공력이 상실된 擧例였음을 폭로했다.
    추가적으로 박세당은 새롭게 인정론에 기초한 “시왕의 정”설을 제기했던 바, 이는 이세론에 기초한 ‘하정설’에 시의성을 반영시킨 대안적 율력제로 평가된다. 또한 박세당은 『춘추』의 필법을 율력고증에도 접속시켰던 바, 이는 역상개념에 투영된 도덕적 시각이 연속되고 있는 장면인 것이다. 박세당이 수행한 율력고증에는 도덕의 잔흔이 얼룩져 있다.

    영어초록

    Park Sedang chiefly adopted Chae Chim(蔡沈)'s 『Seojipjeon(書集傳)』 as an object of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the ancient Chinese calendar. Chae Chim made a statement of historical investigation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twelfth month is the beginning of the year in Ha(夏) State.' He proved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first day of the month was changed, but the basic month of the year was not changed.' from the chinese classics and 『Ancient Chinese Chronicles(史記)』. The period of proof was from the ancient Chinese dynasty until the Qin dynasty.

    Park Sedang thought that Chae Chim's theory was only an unverifiable hypothesis without authority and keenly exposed contradictory concepts in Chae Chim's authorities as evidence of his theory. Park Sedang ascertained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ancient Chinese calendar by using his own two methods : one method was to work out a strategy for finding the repugnance of Chae Chim's analysis on a logic basis, the other was to present new authorities for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doing that, he threw out a new theory, 'the first month of the year by the contemporary king' as an alternative calendar system. Moreover, he chose 『Chronicles of Lu(春秋)』 as the standard for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the ancient Chinese calendar.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 moral view in the domain of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