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당 엄상섭의 형법이론과 형법사상 (Hyodang Eom Sang Seop’s Theory and Thought in Criminal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3
57P 미리보기
효당 엄상섭의 형법이론과 형법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58권 / 1호 / 223 ~ 279페이지
    · 저자명 : 안성조

    초록

    오늘날 『효당 엄상섭 형법논집』에 대해 법제사적 사료로든, 한국형법의 효시(嚆矢) 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전거로든, 그 독보적인 가치를 부인하는 자는 없다. 그동안엄상섭 선생의 형법이론과 형법사상에 대한 직⋅간접적인 논의는 수차례 전개되었고, 이에 본고는 ‘엄상섭 선생의 논설들’의 형법사적 의의에 대해 여기서 재론하는 대신 기존의 선행연구를 비판적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역사적 자료의 발굴만큼 중요한 것은, 그에 대한 적확한 해석과 정당한 자리매김일 것이다.
    따라서 이미 제시된 선행연구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현 시점에서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한 역사적 인물의 이론과 사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있어서 균형을 잡아가려는 시도이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것이다. 본고는크게 엄상섭의 형법이론적 측면과 형법사상적 측면에서 각각 세 가지 쟁점을 추출해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그결론을 요약하자면 먼저 형법이론의 측면에서 첫째, 엄상섭이 규범적 책임론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은 현대적 관점에서 타당할 뿐 당대의 지배적 학설에 비추어 볼 때 적실한 비판이 되지 못한다. 둘째, 엄상섭이 견지한 인과관계불요설은 인과관계의 확정문제와 책임판단의 문제를 혼동한 것으로서 논지구성에 모순이 있다. 셋째, 입법자로서 엄상섭의 공범론 조문체계 구상은 오늘날 간접정범의본질논쟁에 있어서 공범설을 지지해 주는 입법사적 전거가 된다. 다음으로 형법사상의 측면에서 첫째, 엄상섭은 법에는 민족정신이 반영되어 있다는 예링의 역사법학적관점을 지지하며 이를 형벌법규의 해석에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역설하였고, 법률해석에 있어서 ‘문리(文理)’ 중요성을 강조하며 ‘명문(明文)과 법체계의 테두리 안에서의 입법정신의 탐구’로서의 법해석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엄상섭은 특히 인권을 강조하였는데, 그의 인권존중 사상이 일본의 압제기와 독재정권 시절 하에서각각 검사와 국회의원을 역임한 이력에서만 비롯된다고 평가할 수 없고, Mayer의문화규범론과 다키카와 유키토키의 인권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할수 있다. 셋째, 인간의 본성에 기초해 형법에서의 인간상을 구축하고 있는 점이나, 위법성의 실질을 ‘인류사회의 진화를 목표로 하고 생성⋅발전할 수 있는 문화규범위반’이라고 독창적으로 재구성한 점 등에서 진화론적 형법사상가로서의 면모를엿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re-examine the Eom Sang Seop’s theory and thought in criminal law, while criticizing the previous studies on his works regarding criminal law and re-interpreting his works in the view of human right and evolutionary theory.
    The paper argues that some existing theoretical remarks about his works such as his misunderstanding of normative guilt theory is inappropriate, because the remarks are based not on legal theories of the time, but on those of modern times. It shows that some legal critics are very cautious about evaluating Eom’s essays and seem to arrive at a correct conclusion, but other are not.
    It is clarified in this paper first, Eom’ understanding of normative guilt theory is correct second, Eom’s assertion of causation is questionable in that he seems not to be aware that determining if there was causation between action and result is a problem arising not in the domain of guilt but definitional elements and third, Eom’s legislative intention explicitly supports the argument that perpetration by means is not a principal but an accomplice (Teilnahme) in nature. Besides the paper suggests that Eom has a view that criminal law mirrors the spirit of a nation, so we should take it into consideration in legal interpretation, a belief in respect of human rights and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f criminal law and human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대학교 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