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末 黃晟의 明州 관할과 寺院 (Huang Sheng's ruling of Mingzhou and the Buddhist temples in late Tang China)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12
45P 미리보기
唐末 黃晟의 明州 관할과 寺院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5호 / 407 ~ 451페이지
    · 저자명 : 정순모

    초록

    黃晟은 唐末 각지의 혼란 와중에서 출현한 전형적 武將으로 18년간 明州를 관할하였다. 그는 주변 群雄들과 연대하여 자신을 보호하였고 최종적으로 錢鏐에 협력하여 明州를 관할할 수 있었다. 그의 정치적 성공은 唐에 가담하여 명분을 잃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明州를 안정시키는데 크게 공헌하고 士人들을 예우하는 등 지역민의 존경을 받았던데 있었다.
    明州는 대내외의 주요 창구로서 국내외 諸國과 활발한 교류와 교역이 전개되었다. 황성은 商人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했고 안정적인 교역 활동을 유지하는데 진력해야 했다. 그의 정치적 선택은 항상 明州의 안정을 최우선으로 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황성이 羅城을 축조하고 浮橋를 건설한 것은 치안과 활발한 교역을 위해 매우 긴요한 일이었다.
    황성은 사원이 현실적으로 구비했던 중계지로서의 역할을 중시하여 佛敎 寺院을 적극 활용하였다. 상인 역시 주요 檀越로 등장하였고 황성 스스로도 직간접적으로 6곳의 사원을 건립하거나 후원하였다. 특히 그는 墳寺를 건립하여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는 그가 지역 장관으로서 관할 지역의 사원도 통제하고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반영한다. 그 활용 내용은 明州에서 大運河의 기점인 항주까지 연결시키는 역할이었다. 황성이 사원을 교역에 활용한 사례는 멀리 登州 無染院의 건립에서 단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신라 상인도 이곳을 교역에 이용하였지만 이곳의 주요 단월은 黃晟 등 吳越의 지배자였고 兩浙과 中原지역의 교역 활동의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吳越國의 적극적 대외 교류는 商人·僧侶와 互惠관계를 맺음으로써 달성하였다. 이러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직전 明州를 관할하고 교역과 교통의 입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했던 唐末 明州刺史 黃晟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Huang Sheng is a typical military official who controlled the Mingzhou for 18 years in political disorder in late Tang China. How he made this possible. He allied the neighboring strong military commissioners and expecially cooperated with Qian liu. He also got the reputations from the local people for maintaining security of the Mingzhou and courteous treatment of literati.
    Mingzhou was a major portal where domestic and foreign trade, cultual exchange were flourished. Huang sheng had to take interests of merchants into the consideration and make great efforts to keeping the environment of trade. His top priority was to keep safety in Mingzhou. He built the city wall and the bridge to keep public order and stimulate the trade.
    He made use of Buddhist temples as relay base of trade route. So merchants rose the major donators of temples. Huang sheng himself built and supported six temples. He built a Fensi which was controled by the donor family, and had close relationship with it.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he controlled and made use the temple as trade base camp. He helped the merchants move to Hangzhou, the terminal of Grand Canal. The Wuranyuan in Dengzhou was a typical Buddhist temple. Silla merchants also used this temple, but the major donators of the temple were Wu-Yue rulers including Huang sheng. And these rulers actively used the temple as the trade center.
    Merchants and Buddhist priests in Wu-Yue were bound up fulfilling the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 In this point, Huang sheng who boosted Mingzhou into the herb of exchange and transportation earlier than Wu-Yue period, deserved the att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