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代 醫療從事者의 지위 (The Medical Officials’ Status in Tang Chin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5
33P 미리보기
唐代 醫療從事者의 지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82호 / 89 ~ 121페이지
    · 저자명 : 김호

    초록

    본 연구는 당대 황제 의료관부로서 가장 상위에 위치한 尙藥局, 중앙의 의료 및 의학교육을 담당하는 太醫署, 그리고 황태자 의료관부인 藥藏局 및 이외 하나의 독립된 관부라고는 할 수 없지만, 황실여성의 의료를 관장하는 직임에 속해있는 醫療從事者의 지위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唐代 官制 안에서 의료와 관련한 관직을 추출해 냈다. 『唐六典』에 근거하여 의료 관부를 분류한 후, 각 관부에 속한 의료직을 流內官, 流外官, 그리고 雜任職으로 나누어 각각의 정원수를 토대로 그 규모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내 직사관직은 총 20개직에 54명, 유외관은 21개직에 227명, 잡임직은 14개직에 144명이 있었다. 당시 중앙관부의 유내관이 2,285명, 유외관이 7,134명, 잡임이 31,278명이었으므로 그 가운데에서 그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의료 관련직에 종사했던 의료종사자들의 지위는 4개 분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는 앞에서 분류한 의료종사자의 종류와 규모를 토대로 관직의 품계로부터 당시 醫人의 지위를 그려보았다. 품계로 본 의인의 지위는 그리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직사관으로서의 醫官 중 최고 품계는 상약국 장관 尙藥奉御가 갖는 正5品下로서, 5품 이내에 속한 유일한 의관직이었다. 최고의 의관직이라 할지라도 직사관 품계 안에서의 위치를 본다면 의관의 지위는 높지 않았던 것이다. 두 번째로는 의료직에 입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근거로 의료종사직이 일반 관직과는 다른 어떠한 차별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의술이라는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만큼 그 특징도 다양했다. 다양한 입사경로와 우대는 국가가 의료종사자를 가급적 많이 확보할 필요에서도 비롯되었을 것이다. 세 번째는 의료직의 官名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여 당시 사회 관념을 구체화하였다. 학자로서의 관인을 우대하는 중국 전통시대 관료정치의 특성은 醫博士가 正8品上으로서 유외품인 醫師보다 훨씬 높은 지위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列傳」에 실린 醫人들의 기록을 토대로 공통된 특징들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唐代 醫療從事者가 어떠한 위상을 갖는 존재였는지를 그려보았다. 즉 세습을 우선으로 하고 있었던 점, 예외 없이 신통한 의술과 예언력을 갖추었던 점, 그리고 長壽를 들 수 있겠다. 이상과 같이 의료 관련직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여러 문헌 자료들을 활용하여 醫官職이 갖고 있던 전체적인 위상을 해명하였다 하더라도, 令文 규정이 적용된 사례나 醫療從事者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다루지 못했다. 이는 「列傳」에 실린 醫人들의 기록이 그다지 많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墓誌銘에 실린 기록에서도 의료직을 세습한 사례를 찾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비록 醫官을 배출한 가문일지라도 다른 일반 관직에 入仕하는 경우가 많았던 현상이야말로 당시 醫人의 위상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즉, 국가가 의료종사자의 확보를 위해 다방면의 출로를 열어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墓誌銘에서 代를 이어 醫官職에 종사했던 경우를 발견하기 힘들었던 까닭은 일찍이 華佗의 지적에서 알 수 있었던 것처럼 醫業을 명예롭게 여기지 않던 당시의 사회 분위기가 반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status of Medical officials' in Tang China. The Medical officials belonged to Medical Bureau for the Emperor[Xiangyaoju], Medical Bureau for the Prince[yaozangju] and National Medical School [Taiyishu]. Besides there were also Women Doctors for Palace Women. First, as the highest rank among medical officers was the minister of Medical Bureau for the Emperor[Sangyaoju] which was the senior grade of the 5th rank, they were not ranked high. Second, as medical officers needed special skills, there were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recruitment of medical officers. It is probably because of the needs that the government should secure as many professionals as possible. The regulation on the recruitment of female doctors to limit eligibility to public servants and public slaves show the status of medical officers at that time. Third,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monarchial bureaucratic politics preferring officials as scholars is shown in name of medical officials. The dean, the head of medical education was placed far higher than practitioners as the senior grade of the 8th rank. Fourth, based on biographies, medical jobs were inherited, and they had mysterious medical abilities and prophetic capabilities and lived long. Although this study identified total status of medical workers utilizing various materials containing details of medical offices, it has limitations that it did not deal with their everyday life, discrimination and limitations in career. It is because of insufficiency of records in biographies in particular memorial inscriptions. Although it could not show diverse examples because of lack of materials, it can be considered as representation of status of medical people. In other words, as they did not have high status, they did not leave many epitaphs and we need to consider the situations of the times when they did not highly recognize medical profession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