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시각문화: 당(唐)과 요(遼)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Material Culture of Dhāraṇī Inscriptions from the Tang and Liao Tomb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중국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시각문화: 당(唐)과 요(遼)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7권 / 283 ~ 316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혜

    초록

    동아시아의 다라니(dhāraṇī, 陀羅尼) 신앙은 다라니 및 다라니경전의 염송(念誦), 서사(書寫), 대지(帶持) 혹은 패용(佩用), 납탑(納塔), 간행 및 유통뿐만 아니라 다라니 염송이 포함된 복합적인 밀교의례 등 다양한 양태로 전개됐다. 또한 묘장(墓葬)을 비롯한 장의미술(葬儀美術)에서도 꾸준하게 활용돼 주목을 요한다. 다라니는 초기 경전에서부터 등장하며 일찍이 중국에 전래됐지만 8세기에 이르러서야 묘장 중에 활용되기 시작한다. 이 사실은 소위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출현이 중세 중국인이 겪은 내세관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누구나 지옥 명부(冥府)에서 전생에 지은 죄장(罪障)에 대해 심판을 받는다는 불교적 내세관의 보편화는 묘장 다라니의 출현에 큰 역할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생전에 다라니를 수행함으로써 죄장을 소멸하는 것 외에, 죽은 후에도 망자를 위해 다라니 및 진언을 공양하여 지옥에서 구제한다는 불교적 대속 (代贖)의 개념이 묘장 다라니의 출현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당(唐)과 요(遼)의 묘장 다라니는 여러 측면에서 동아시아 다라니 신앙과 종교시각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 불교 경전에는 수많은 다라니가 설해져 있으나 동아시아 묘장미술에 활용된 것은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陀羅尼)와 수구다라니(隨求陀羅尼)를 비롯한 수십여 종에 불과하다. 이들은 대체로 망자를 지옥에서 구제하고, 보다 나은 내생을 약속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이른바 묘장 다라니는 보수적이고 토착적인 속성이 강한 장의미술의 영역에 불교의 생사관이 수용되고 전개된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셋째, 묘장 다라니는 일반적으로 염송을 통해 그 공덕이 발현된다고 믿어졌던 다라니 신앙의 시각적・물질적 측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Chinese Buddhists practiced dhāraṇīs in various forms from early on, but it was only after the eighth century when they began to inter dhāraṇī inscriptions within tombs for the postmortem benefits of the deceased. The emergence of such “funerary dhāraṇīs” seems to have been correlated to Chinese perspective on death and afterlife, which gradually underwent great chang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Buddhism asserts that everyone receives postmortem judgment and punishment in the courts of the ten kings of the underworld after death on earth. The widespread belief in purgatory and postmortem judgment seems to have played a vital role in the emergence of funerary dhāraṇīs during the Tang dynasty. In addition to practicing dhāraṇīs to eliminate sins and accumulate merit during their lifetime, the Tang Buddhists also interred dhāraṇī inscriptions within tombs on behalf of the deceased in an attempt to redeem their sins. The dhāraṇī inscriptions found on the surface of various objects such as sheets of paper, stone pillars, stone plates, or wood coffins from the Tang and Liao tombs hold importance in understanding the Chinese dhāraṇī cult and its visual culture in several respects. First, although there are literally hundreds of different dhāraṇīs in Buddhist scriptures, only a dozen of them including the Mahāpratisarā dhāraṇī and Uṣṇīṣavijayā dhāraṇī were put to use in Chinese tombs during the Tang and Liao dynasties. These dhāraṇīs seem to have been selected for their efficacy to save the deceased from the tortures of hell or to make them reborn in the pure land. Second, the funerary dhāraṇīs demonstrate the ways how Buddhist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infiltrated into tombs, a domain that is very conservative by nature. Third, funerary dhāraṇīs show visual and material nature of dhāraṇīs faith, whose merit had long been thought to manifest through their vocal sounds by earlier generation of Buddhist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