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 高宗代 對外 政策의 性格과 意味 -唐使 派遣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Foreign Policy during the Reign of Tang Kao-tsung: Focused on the Dispatch of Tang’s Envoy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1.12
22P 미리보기
唐 高宗代 對外 政策의 性格과 意味 -唐使 派遣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75호 / 32 ~ 53페이지
    · 저자명 : 염경이

    초록

    唐이 정벌을 통해 邊外에 羈縻府州體制를 시행하기 시작한 것은 태종말의 일이지만, 고종대에는 이를 서돌궐과 고구려까지 확대시키면서 최대 판도의 영토를 확보하였다. 고종대 唐使 파견은 고종즉위(650)로부터 661년까지는 서돌궐에, 670년부터 고종말까지는 토번에 집중되었고, 파견 횟수도 년 0.53회로 무척 적다. 뿐만 아니라 고종대의 조공 횟수도 태종대에 비해 현격히 적다. 이는 당의 주된 사신 교류국(돌궐을 비롯한 철륵, 서돌궐, 고구려, 백제 등)이 정벌되었던 까닭이기도 하지만, 신라나 토번과의 관계를 통해 볼 때, 정벌과 지배를 목표로 한 고종대 대외 정책의 성격에 기인한 측면이 강하다고 하겠다.
    고종대 당의 사신 외교는 주로 정벌 전 招慰와 정벌 후 冊封이다. 반면에 당의 說諭가 유효하지 않았던 토번에는 주로 군사적으로 대응하였고,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토번의 요구를 수용ㆍ화친하였다. 또한 당의 지배를 거부한 신라와의 사신 왕래는 거의 단절된 상황이었으며, 일본에 파견된 두 차례의 사신 역시 일본과의 국교가 목적이 아니라 신라를 견제하는 측면이 강하다. 즉 고종대 대외정책은 주로 군사 정벌과 기미부주체제의 확대였고, 이 과정에서 사신외교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고종대에는 사신 외교의 비중이 낮았고 또 토번과 같은 강력한 국가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을까. 여기에서 한가지 주목할 것은 고종대 대외정책은 태종대에 구축된 국제적 지위와 대외적 역량이 상승곡선을 그리는 시점에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당은 국제 질서의 중심에서 각국의 군주를 책봉하며 전통적인 중화이념을 실현시키고, 나아가 기미지배체제의 실시로 책봉 보다 강력한 통제가 가능해졌다.
    이렇게 당의 국제적 위력이 커지면서 더불어 대외관계에서 중화적 이념 역시 크게 고조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때문에 고종대에는 강성한 토번의 공세와 요구에 여전히 효과 없는 ‘천자의 說諭’를 반복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이미 광범위한 이민족 지역에 당의 지배체제를 실현한 고종대에 책봉-조공의 관계를 전제로 하는 사신 외교는 그 비중이 낮아지고 경직되었다고 보인다. 그렇기에 토번에 대해 전쟁 이외의 유효한 외교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고종대의 대외 정책은 토번의 공세와 서돌궐의 反唐으로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이미 신라는 당의 지배를 거부한 상황이었고, 고종말에 북방 돌궐 역시 당의 지배체제에 격렬하게 저항하였다. 이는 당의 군사력이 광범위하게 확장된 기미부주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이며 기미부주체제를 통한 지배라는 대외 정책에 한계가 드러났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은 678년(儀鳳 3)에 황제 고종의 주도하에 신라를 토벌하려 하고, 679년(調露元年) 2월에 贊普의 죽음을 기회로 토번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도 당은 동요하는 대외질서에 분주하게 토벌군을 파견하여 당의 지배질서를 지속시키고자 하였다. 이로써 볼 때, 고종대 당의 대외정책은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사신외교에 무척 소극적인 반면, 정벌과 지배의 팽창 정책이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고종말까지 일관되게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ang acquired the largest territory during the reign of Kao-tsung. In this period, the dispatch of Tang’s envoys became concentrated on Western Turkic Khaganate and Ancient Tibet, but the number of dispatching them was too few. The task and object of Tang's envoys were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ang aimed to conquer and swayed the Western Turkic Khaganate in early Tang. But Tang accepted demands of the strong Ancient Tibet and entered into friendly relations with it, and almost broke off diplomatic relations with Shilla. This is a result that Tang under Kao-tsung's reign gave little weight to the diplomacy through envoys and pushed ahead the foreign policy of conquest and control.
    The foreign relations of Tang started to be changed rapidly around 670. Western Turkic Khaganate and Ancient Tibet united against the Tang, and Shilla broke the link with the Tang and rejected the control of Tang. Ancient Tibet in northern, too, began to resist strenuously it. Already at the end of Kao-tsung's reign, Jimi local administration system reached the limit to the foreign policy. In other words, the military power of Tang was inadequate to be capable of Jimi local administration largely expanded.
    In this, Tang dispatched punitive forces and actively coped with the situation. Its friendly relations with Ancient Tibet resulted not from the change of its foreign policy in a large sense, but from military attacks of Ancient Tibet on Tang. Tang fundamentally adhered to previous foreign policy in spite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circumstances. We can find the fact that Tang would subjugate the Shilla in 678 and Ancient Tibet in 679 under the leadership of Emperor Kao-tsung.
    The diplomacy in one of contemporary sense that presupposes the equal and independent foreign policy didn't exist in many chinese dynasties as well as Tang. Barbarians who weren't directly ruled by the Chinese emperor, a son of Heaven were the subject that would become domesticated by the son's virtue, and the figure that should receive the investiture and pay the tribute to China. We can find that diplomacy based on the Sinic ideology, which contained the control of the world by means of the investiture of foreign kings by the Chinese emperor, had weakened, on the contrary, during the reign of Kao-tsung who had established the Chinese control system to the wide area of Barbar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