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승 ‘춘화당 만총(春花堂 萬聰)’불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inter Monk, Chunhwadang Manchong’s Buddhist Paint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4
22P 미리보기
화승 ‘춘화당 만총(春花堂 萬聰)’불화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25권 / 25호 / 67 ~ 88페이지
    · 저자명 : 고승희

    초록

    1901년 이후 1929년까지 8점이라는 적은 수의 작품에 수화승의 책임을 맡고 있는 ‘만총’은 일찍이 수화승 ‘문성, 약효, 용준, 정연’ 아래 참여하여 출초(出草) 역할을 맡아오면서 실력을 인정받아 왔다. 어느 시기부터 불화 수업을 받아 왔는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하지만, 1893년과 1895년의 두 작품에서만 사미승(沙彌僧)으로서 ‘출초’ 역할을 맡고 있을 뿐 이후부터는 비구승(比丘僧)으로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1880년대 중반부터는 본격적인 불화 수업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보조 화승으로 조성에 참여한 16점의 불화 가운데 8점에서 ‘출초’ 역할을 맡고 있을 정도로 밑그림 그리는 실력이 뛰어났던 것으로 짐작되는 ‘만총’은, 1901년부터 1929년까지는 일련의 보조 화승들을 거느린 수화승으로서 책임을 맡아 불화를 조성함으로서 그 나름의 영향력을 발휘했다고 하겠다.
    1917년 무렵 완주 송광사와 남원 선원사를 주 무대로 하여 조성한 〈비로자나후불도〉와 〈지장시왕도〉, 〈신중도〉등을 통해, 동양회화의 삼원법(三遠法)과 연관지어 공간과 거리를 나타내는 서양화적 원근법, 그리고 공간감 부여 및 온화한 느낌의 한난대비(寒暖對比) 효과와 화면을 넓어 보이게 하는 면적대비(面積對比)와 보색대비(補色對比)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정한 굵기의 철선묘(鐵線描)를 사용하여 길어진 존상의 얼굴 형태와 상호표현을 하고 있으며, 서양화적 명암을 더하여 입체감을 강조하고 담채기법(淡彩技法)의 수채화적 분위기의 필법을 구사한 서양화적 표현기법을 보여줌으로써 근대기로 지칭하는 시기의 불화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그만의 새로운 화풍을 살펴보았다는 데 연구 의의를 둘 수 있겠다.

    영어초록

    From 1901 to 1929, Manchong, who was in charge of the head painter monk for a small number of works of eight pieces, participated early under the head painter monks Munseong, Yakhyo, Yongjun, and Jeongyeon, and was recognized for his skills while taking on the role of assistant painter (出草). It is unclear from when he took Buddhist painting lessons, but only in two works in 1893 and 1895, he played an ‘assistant’ role as a novice monk (沙彌僧). Based on the fact that He seems to have assumed a role as a Bhikkhu monk (比丘僧) from then on, from the mid-1880s at the latest, it is presumed that he received full-scale Buddhist painting lessons.
    In particular, among the 16 Buddhist paintings of which he participated in the composition as a basic assistant painter monk, Manchong, who is presumed to have had excellent drawing skills to the extent of being in charge of the role of ‘assistant’ in eight pieces, from 1901 to 1929, was responsible as the head painter monk with a series of assistant painter monks, and he exerted his own influence by fostering Buddhist painting.
    Through “Vairocana Platform Painting”,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and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created around 1917 at Songgwang-sa Temple in Wanju and Seonwon-sa Temple in Namwon as the main stages, it was confirmed that a westernized linear perspective that represents space and distance associated with the three distances (三遠法) of oriental painting, the cold-warm color contrast (寒暖對比) that gives a sense of space and a warm feeling, and area contrast and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were shown to make the screen look wider.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placed in the fact that this study examined his own new painting style, which was not seen in Buddhist paintings of the period referred to as the modern period such as using a wire line description (鐵線描) of a certain thickness to express the elongated Buddha statue's face shape and mutual expression, emphasiz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by adding Western-style light and shade, and showing the Western-style expression technique using the watercolor atmosphere of the Ink-and-Wash Painting method (淡彩技法).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