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비교 검토 (A Comparison of the Various Editions of Muhadang yug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12
37P 미리보기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비교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0호 / 11 ~ 47페이지
    · 저자명 : 장진엽

    초록

    본고는 선조의 부마였던 무하당 홍주원의 문집인 『무하당유고(無何堂遺稿)』 이본의 체제 및 내용상의 특징을 비교,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하당유고』는 현재 완질인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7책)과 연세대 소장본(6책), 그리고 결질인 국민대 소장본(2책)이 전하고 있다.
    먼저 각 본의 형태 및 기본서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 본은 모두 필사본으로, 똑같이 1684년 송시열의 서문이 붙어 있다. 필사연도 및 필사자는 미상이며, 세 본의 선후관계도 알 수 없다. 국민대본은 필사 방식이나 작품 내용으로 볼 때 연세대본과 같은 계열의 이본이다. 한편 1824년 간행된 『풍산세고(豊山世稿)』에 수록된 무하당의 작품은 연세대본과 일치하는데, 이를 통해 연세대본 계열의 이본이 가장 후대까지 홍석주 집안에서 활용되던 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세 본의 체제상 특징을 검토하였다. 주목할 만한 것은 세 이본의 분책 방식이 각각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는 원고본에 권차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현상으로, 『무하당유고』가 간행에 이르지 못하고 여러 대에 걸쳐 재편집이 시도되면서 이본을 생성해 왔음을 보여준다. 작품의 배열 순서는 세 본이 동일한데, 그 순서는 시체․문체별 분류를 기본으로 하고 각 항목 내에서는 창작 연대에 따라 배열하는 방식이다. 원고본이 이미 체계적으로 편집을 마친 상태였기에 후대의 사본들도 동일한 순서에 따라 작품을 수록한 것이다. 한편 규장각본과 연세대본은 모두 교열의 흔적이 있는데, 이는 선본의 제작이나 간행의 추진을 위한 후속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완질인 규장각본과 연세대본의 수록 작품은 대부분 일치하는데, 연세대본에는 규장각본에 없는 칠언율시 3수와 오언절구 1수, 제문 1편이, 그리고 규장각본에는 연대본에 없는 제후(題後) 1편과 서(書) 2편이 실려 있다.
    마지막으로 세 본의 작품 수록 양상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고전번역원 해제에서는 연세대본을 규장각본보다 더 선본(善本)으로 보고 있으나, 작품 내용과 필사의 정확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규장각본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연대본이 맞게 되어 있고 규장각본이 틀린 경우도 간혹 있으므로 원문 확정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 국민대본을 두 본과 대조해 보면 본래 연세대본 계열의 이본과 규장각본 계열 이본의 글자 출입이 있었던 곳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홍주원 작품의 원문 확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무하당유고』 이본 검토는 홍주원 문학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인하고 원문을 확정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다. 나아가 이를 통해 조선후기 문집 전승의 한 양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various editions of Muhadang yugo (無何堂遺稿, Posthumous Works of Muhadang), written by Hong Chuwŏn, King Sŏnjo’s son-in-law. Complete editions of the text exist in the Kyujanggak Library of Seoul University (seven books) and Yonsei University (six books) while Kookmin University owns an incomplete edition (two books).
    Firstly, an examination of each edition’s form and bibliography is as follows. All three editions are transcribed copies with a foreword written by Song Siyŏl in 1684. It is unknown which of these editions was transcribed first as their transcribers and dates of transcription are unspecified. The Kookmin University edition seems to be affiliated with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from the method of transcription and content. Hong Chuwŏn’s writings in P’ungsan sego (豊山世稿, Generational Works of the P’ungsan Hong Clan) also match the content in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demonstrating that the editions affiliated with this version were used by the latest generation of Hong Sŏkju’s household.
    Secondly, observing the structure of each edition shows each one has a different system of dividing the works into books since the original manuscript was not divided into volumes. As Muhadang yugo was never published, attempts to edit the works across generations produced different editions. All three also contain the same sequence of works, dividing them into categories based on poetic or discursive forms and chronologically arranging each work based on its year of creation under each category. Transcribed editions in later generations anthologized the works in the same sequence of the original manuscript as it had already been systematically edited. Traces of editing in the Kyujanggak and Yonsei University editions also show efforts later continued in preparing it for publication or producing a better edition. Despite most of the content matching in the Kyujanggak and Yonsei University editions, the latter contains an additional three pieces of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one piece of five-character truncated verse, and an elegy, while the former contains two letters and an afterword.
    Finally, the conditions of the three editions’ works were compared. Although a summary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views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as superior to the Kyujanggak edition, the latter can be said to be superior in the content of the works and accuracy of transcription. However, a detailed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the original texts since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is correct in some places where the Kyujanggak edition is wrong. Moreover, by comparing the Kukmin University edition with the other two, we can identify inherent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 version affiliated with the Kyujanggak edition and the versions of the Yonsei university edition. This comparative work is needed to determine the original texts of Hong Chuwŏn’s works.
    Comparing the editions of Muhadang yugo is necessary for verifying sources on literary research on Hong Chuwŏn and determining the original texts of his works. Furthermore, this work is meaningful in showing how late Chosŏn anthologies wer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