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와 남조·수·당의 서예비교 (Comparison in Calligraphy among Baekje (百濟: a Korean Dynasty), Namjo (南朝: South Dynasties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Chinese Dynasties), Sui (隋: a Chinese Dynasty) and Dang (唐: a Chinese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8.09
33P 미리보기
백제와 남조·수·당의 서예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13호 / 155 ~ 187페이지
    · 저자명 : 이성배

    초록

    본고는 백제 서예를 한성시기, 웅진시기, 사비시기로 구분하고, 예서, 해서, 행서, 초서를 중심으로 중국과 비교하였다.
    먼저 隸書를 보면, 한성시기의 <七支刀>, 웅진시기의 <우전팔번경>, 사비 시기의 <창왕명 사리감> 등에서 古隸를 많이 사용하였음을 볼 수 있다. 八分隸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다음에 楷書를 보면, 한성시기의 토기와 웅진시기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사비시기의 <사택지적비> 등에서 북위서풍과 수당서풍을 반영하고 있는 백제적인 특성이 있는 해서를 볼 수가 있다. 특히 목간에 쓰인 해서는 서사의 실용성을 살린 자연스런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楷書는 魏의 鍾繇를 거쳐 東晋의 王羲之와 王獻之에 이르러 귀족적인 세련미를 더하며 완성도를 높였다. 南朝는 대체로 鍾繇와 二王의 해서를 계승하였고, 北朝는 北魏를 중심으로 웅방한 해서를 발전시켰다. 隋의 해서는 남북조 서예의 특성을 아울러서 방정함과 세련성을 더했다. 初唐의 해서는 더욱 완성도 높고 筆法이 분명하며 靜的인 安定性이 극도로 강한 해서로 발전시켰다. 구양순 ․ 우세남 ․ 저수량 등이 대표적인 서예가들이다.
    다음에 行書는 웅진시기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속의 ‘甲乙’ 墨書와 사비 시기의 木簡 등에 쓰인 것이 서사 수준이 높고 필의도 다양하다. 중국의 행서는 魏晉 이후 二王의 행서풍이 가장 왕성하게 발전하였다. 백제의 목간 행서는 남조와 수당의 행서에 결코 뒤지지 않는 높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草書는 자료가 드물지만 웅진시기의 초서인 ‘梁官下爲師矣’를 보면 대범하고 능숙하며 공간활용이 뛰어나다. 중국에서 초서는 東晋의 二王에 의해 예술성 높은 완성을 이루며 최고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남조 梁은 梁武帝와 蕭子雲 등 뛰어난 서예가들이 있었고, 陳의 智永 등이 二王의 서예를 이어갔다. 백제 초서는 이들과 교류하면서 발전 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compared the calligraphy of Baekje with that of China focusing on Yeseo, Haeseo, Hangseo and Choseo calligraphic styles by identifying it based on the eras of Baekje's capitals: Hanseong era, Ungjin era and Sabi era.
    Regarding Yeseo, first, Chiljido of Hanseong era, Ujeonpalbeongyeong of Ungjin era and Changwangmyeongsarigam of Sabi era indicate that Goye (古隸: a style of Yeseo) was mainly used. Use of Palbunyeo (八分隸: a style of Yeseo) has not been yet found.
    Regarding Haeseo, the earthenwares of Hanseong era, heritages excavated from the King Muryeong's tomb of Ungjin era and Sataejijeokbi of Sabi era show the Baekje style Haeseo that reflects the calligraphic styles of Bukwi (北魏: a Chinese dynasty), Sui and Dang. Especially the Haeseo written on such wood documents show its unique natural styles that come with practicality of narration.
    Chinese Haeseo had enhanced its completion by adding noble style fine beauty to it through Jong Yo of Wi (魏: a Chinese dynasty) finally at Wang Hee Ji and Wang Heon Ji of Dongjin (東晋: a Chinese dynasty). Namjo succeeded to Jong Yo's and such two Wangs' Haeseo styles in general while Bukjo (北朝: North dynasties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Chinese dynasties) improved magnificent and free style Haeseo centered on Bukwi. Haeseo of Sui added neatness and fineness to it embracing the calligraphic features of Nam-Bukjo (南北朝: Dynasties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Chinese dynasties). The early years of Dang upgraded Haeseo to that with higher completion, clear letter-writing rules and extremely static stability. This period is represented by the calligraphers Gu Yang Soon, Woo Se Nam, Jeo Soo Ryang and etc.
    Regarding Haengseo, the ink based wording ‘甲乙’ found in the heritages excavated from the King Muryeong's tomb of Ungjin era and the wordings written on the wood documents of Sabi era show the Haengseo with high level narration and various writing meanings. In China, such two Wangs' Haengseo styles had grown most energetically since the era of Wi and Jin (晉: a Chinese dynasty). The Haengseo written on the wood documents of Baekje is high leveled enough that it can never be worse than that of Namjo, Sui and Dang.
    Regarding Choseo, finally, there are only few data for it but Yanggwanhawisaeui that was the Choseo of Ungjin era is bold, skillful and excellent in using space. In China, Choseo had achieved its highest level with high artistic completion thanks to such two Wangs in the era of Dongjin. Yang (梁: a Chinese dynasty) of Namjo had such excellent calligraphers as the emperor Yangmuje, So Ja Woon and etc while Ji Young of Jin (陳: a Chinese dynasty) succeeded to the calligraphy of such two Wangs. It is thought that Baekje's Choseo grew up interchanging with that of such Chinese dynasties set forth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