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 高宗의 泰山 封禪과 高句麗의 對應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Several Issues Surrounding Bongseon(封禪) of Taishan(泰山) of Tang(唐) Gaozong(高宗) and the Response of Goguryeo(高句麗))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7
22P 미리보기
唐 高宗의 泰山 封禪과 高句麗의 對應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64권 / 207 ~ 228페이지
    · 저자명 : 이성제

    초록

    666년 正月 唐 高宗은 泰山에 올라 封禪儀禮를 거행하였다. 이때 고구려는 太子 福男을 보내 봉선의례에참가하였다. 이로부터 불과 2년 뒤 고구려는 羅唐聯合軍에 패망하고 만다. 봉선에의 참가는 고구려 최후의 對 外活動이자 對唐政策이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고구려가 봉선에 참여하게 된 연유와 양국 관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고종이 태산 봉선을 거행하기 위해서는 고구려를 비롯한 주변국의 참가가 필수 조건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종이 봉선계획을 발표한 것은 664년 7월의 일이었지만, 이 詔書의 下達 대상에는 고구려 등 주변국가의군주에 대한 언급이 보이질 않는다. 즉 이때의 조서와는 별도로 당은 봉선계획을 고구려 등의 참가대상국에알렸던 것이다. 이 계획의 通知 시기와 방식과 관련하여, 이 무렵 倭國과 당의 교섭 기사가 참고된다.
    당과 왜국의 교섭 과정을 검토한 결과, 봉선 계획의 통지가 詔令의 하달과 같은 일방적 통보가 아니라, 상대국의 불만을 해소시키고 봉선에 참가토록 유도하는 방식이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당이 봉선계획을 고구려등 참가국에 통지한 시점은 664년 7월 조서의 포고 이전이었다. 고구려와 같이 복속되지 않은 국가의 참여를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사전 협의가 불가피했던 것이다.
    한편 그동안의 연구는 淵蓋蘇文의 사망을 계기로 새로운 집권세력이 등장하였고, 이들이 봉선 참가와 같은대당정책의 변화를 이끌었다고 이해하였다. 그러나 봉선 계획의 통지는 664년 7월 이전의 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간의 이해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즉 봉선에의 참여 결정과 태자 파견은 淵蓋蘇文의 주도 아래 추진되었으며, 그 후속의 문제들이 泉男生에게 주어졌던 것이다.
    왜국의 사례로 보아, 고구려의 의도 역시 양국관계의 변화에 있었다고 보인다. 특히 태자를 보냈다는 것은고구려의 각별한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고구려는 대당관계의 轉機를 마련하려 했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泉男生墓誌>의 ‘按嵎夷之舊壤, 請羲仲之新官’이란 기술은 고구려가 기대한 양국관계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표현이 된다. 여기에서 羲仲의 새로운 官이란 外臣으로서 寶藏王의 지위를 가리킨다고 보인다. 대체로 冊封朝貢關係의 회복을 의미할 것이다. 비록 실현되지는 못했지만, 시도만큼은 평가되어야 할대목이다.
    그러나 천남생은 어렵게 마련된 대당관계의 전기를 자신의 권력 강화에 이용하려 하였고, 이를 두고 볼 수없었던 男産 등이 정변을 일으켰다. 그 결과 고구려는 봉선 참여로 얻은 대당관계의 돌파구를 눈 앞에 두고, 망국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January 666, Gaozong(高宗) of Tang climbed Taishan(泰山) and performed Bongseon ritual(封禪儀禮). Goguryeo(高句麗) sent Boknam(福男), who was a crown prince(太子), to participate in this ritual. After only two years of it, Goguryeo was defeated by the Allied Forces of Silla-Tang(羅唐聯合軍). Participating in the ritual was the last international activity and the policy toward Tang of Goguryeo. However, much has not yet been revealed about the grounds for participating in Bongseon and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Tang.
    The particip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Goguryeo was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Gaozong to perform Bongseon of Taishan. It was July 664 when Gaozong announced the plan of Bongseon, but there was no reference to the monarchs of neighboring nations such as Goguryeo in the object of issuance of Joseo(詔書). In other words, apart from the Joseo, Tang informed the participating countries such as Goguryeo of the plan of Bongseon. The timing and manner of the notification of this plan can refer to the articles on the negotiation between Wa(倭國) and Tang at that time.
    This article clarifies that the notification of the Bongseon plan was not a one-sided one such as issuance of Joryeong(詔令), but was a way to resolve the complaints of the other state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Bongseon through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negotiations between Tang and Wa. The time when Tang notified the participating countries of the plan was before the declaration of Joseo, which was July 664. Prior consultation was inevitable in order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non-subordinate countries such as Goguryeo.
    Previous studies understood that the death of Yeon Gaesomun(淵蓋蘇文) led to the emergence of new ruling powers, and they led the changes in the policy toward Tang such as participation in Bongse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gre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vious study in that the notification of the Bongseon plan was before July 664. In other words,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Bongseon and the dispatch of the crown prince were driven by the Yeon Gaesomun, and Cheon Namsaeng(泉男生) was given subsequent matters.
    Given the case of Wa, Goguryeo also intended to change the relation with Tang. Especially, Sending the crown prince expresses the strong will of Goguryeo, and through this, Goguryeo tried to make a turning point of relation with Tang. In this regard, the description in Cheon Namsaeng’s Epitaph(泉男生墓誌), “按嵎夷之舊壤, 請羲仲之新官”, is an expression implicating the relationship which Goguryeo expected. A new official(新官) of Huijung(羲仲) seems to refer to the status of King Bojang(寶藏王) as Oesin(外臣). This generally means a restoration of investitive-tributary relation. Although it was not realized, the attempt should be appreciated.
    However, Cheon Namsaeng tried to utilize this hard-earned turning point of relationship to strengthen his power. Including Namsan(男産), those who could not stand this situation caused political upheaval. As a result, Goguryeo was on the way of collapse right before making the breakthrough in relation with Tang by participating in Bong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