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議政府 堂下官의 구성과 운영 변화 (The Formation and Change in Operation of Euijeongbu(議政府) Danghagwan(堂下官) in the Early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8
36P 미리보기
조선전기 議政府 堂下官의 구성과 운영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88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이건희

    초록

    議政府는 『經國大典』에서 정1품 아문으로 종친부 바로 다음에 등장하여 ‘재상’의 역할을 맡아 왕을 보좌하고 국정을 운영하는 핵심 관서로 규정되어 있다. 1400년(정종 2) 의정부가 설립되고 이후 『경국대전』 체제로 이어지는 동안 의정부는 당시 중앙관서가 육조와 속아문체제로 개편되는 흐름과는 달리 府內 하위 관서였던 경력사와 검상조례사가 혁파되고 대신에 正職을 설치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의정부 당하관은 舍人, 檢詳, 그리고 司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국정운영체제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행정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실무진으로 역할했다. 文官 출신만 임명하면서도 『경국대전』에서 예외적인 인사이동을 규정하고 있는 의정부 당하관직을 실제로 역임한 자들의 관력을 살펴보았을 때, 16세기 이후부터 규정과 다른 새로운 양상이 나타났다. 재직기간의 단축과 재임용, 아래 품직으로의 改差, 그리고 三司와 번갈아 나타나는 인사이동은 중종대 혼란스러운 政局과 함께 三司의 정치적 영향력 증대에 따라 향상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는 변화하는 정치적 흐름이 당시의 관직 운영에도 반영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Euijeongbu(議政府), defined as a Jeong 1 Pum depratment(衙門) is a critical office of state governance and assisting the king as a chancellor, appears right after the Ministry of Royal Families on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After the establishment of Euijeongbu, in 1400 and as the government system undergoes “Gyeongguk Daejeon-System”, unlike other central departments which was restructuring in to Yukjo(六曹) and sub-department(屬衙門) system, in case of Euijeongbu, Geomsangjoryesa(檢詳條例司) and Gyeongryeoksa (經歷司), which were the subunits within the department was abolished and instead, regular positions were set. Euijeongbu Danghagwan(堂下官) consists of Sain(舍人), Geomsang(檢詳), Sarok (司錄). They acted as the main staff member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duties, when the state governance system was undergoing transformation. When examining careers of people who served as the Danghagwan , which was defined in 『Gyeongguk Daejeon』 as a only civil office role and an exceptional personnel changes, one can find new aspects of personnel changes, different from the rule, after the 16th century. Shortened tenure sand reappointments, degrading to lower ranks and rotating personnel movements with Samsa(三司) is due to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of Jung-Jong era and improved perception of Samsa, as Samsa’s political influence increased. This elaborates how changing political trend can be manifested in the government office op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