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담관결석 진단에 대한 다검출 나선 전산화단층촬영의 역할: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과의 비교 (Role of Multidetector Computerized Tomography (MDCT) in Identification of Common Bile Duct Stone: Comparison with ERCP)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7.10
8P 미리보기
총담관결석 진단에 대한 다검출 나선 전산화단층촬영의 역할: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과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수록지 정보 : Clinical Endoscopy / 35권 / 4호 / 235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동일, 이홍식, 김진남, 정성우, 구자설, 임형준, 진윤태, 전훈재, 엄순호, 이상우, 최재현, 김창덕, 이승화, 류호상

    초록

    목적: 담관결석을 진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영상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은 침습적임에도 불구하고 담관결석의 진단에 가장 표준적인 검사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전산화단층촬영이 담관결석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법은 아니지만 담도질환이 의심될 경우 흔히 사용되고 있다. 다검출 나선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omputerized tomography, MDCT)은 해상도가 높고 여러 가지 재구성기법이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담관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담관결석에 대한 MDCT의 진단적 가치를 ERCP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6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담관 질환이 의심되어 MDCT와 ERCP를 둘 다 실시한 130명의 환자(164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확진은 수술소견이나 ERCP의 결과로 판정하였고, 담관결석에 대한 MDCT와 ERCP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정확도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64예 중 담관결석은 47예였으며, 담관결석에 대한 MDCT와 ERCP의 민감도는 89.4%(42/47) vs 97.9%(46/47), 특이도는 98.3%(115/117) vs 99.1%(116/117), 양성예측도는 95.5%(42/44) vs 97.9%(46/47), 음성예측도는 95.8%(115/120) vs 99.1%(116/117), 정확도는 95.7%(157/164) vs 98.8%(162/164)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MDCT는 담관결석에 대하여 ERCP와 비슷한 높은 진단적 가치를 나타내어, 많은 경우에 있어 진단 목적의 ERCP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MDCT, which provides high resolution and various reconstructing images, has recently become widely available and is a promising tool for imaging the bile duct with preci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multidetector computerized tomography (MDCT) for a common bile duct (CBD) stone, this study compar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MDCT with that of ERCP.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undergoing both MDCT and ERCP consecutively from June 2006 to January 2007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One hundred and sixty four patients (164 cas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final diagnoses were based mainly on the ERCP finding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accuracy of MDCT and ERCP for choledocholithiasi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Results: Of the 164 cases, 47 cases were diagnosed with choledocholithia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accuracy for choledocholithiasis were 89.4%, 98.3%, 95.5%, 95.8%, 95.7% in MDCT and 97.9%, 99.1%, 97.9%, 99.1%, 98.8% in ERCP,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gnostic accuracy between the two methods (p=0.206). Conclusions: MDCT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iagnosing stones in the bile duct and should be performed in preference to ERCP in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choledocholithiasi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235-24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linical Endoscop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