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연원징선사어록(湛然圓澄禪師語錄)』의 선관인식(禪觀認識) 및 종문인식(宗門認識) 고찰 (The Viewpoint of Zen AwarenessShown in Zhanran-Yuancheng(湛然圓澄)’s Chanzong-huowen(禪宗或問))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3
26P 미리보기
『담연원징선사어록(湛然圓澄禪師語錄)』의 선관인식(禪觀認識) 및 종문인식(宗門認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6권 / 95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명대 말기에는 당․오대․송대와는 달리 원대를 거치면서 형성된 종교다원주의의 정책에 힘입어 종교들 사이에도 다양한 사상의 혼융이 이루어졌고, 불교 자체에서도 종파들 간의 융합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갔다. 더욱이 선종의 경우에는 교학의 관계는 물론이고 수행법의 경우에도 정토수행을 비롯한 여타의 다양한 수행법이 혼재되면서 출가와 재가 그리고 여인의 수행과 이교인(異敎人)의 불교수행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인 양상으로 드러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명말 불교의 상황은 여러 가지 종파와 삼교의 사상이 융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대였다. 수행의 측면은 물론이고 신앙과 사상의 측면에서도 불교만이 아니라 도교와 유교 등 삼교가 상호 영향을 끼치면서 조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에 담연원징은 조동종의 선사로서 『선종혹문』(『담연원징선사어록』 제8권 수록)이라는 저술을 통해서 선의 수증관 및 선의 교화행에 대하여 다양한 설명을 보여주고 있다. 선의 수증관으로는 외연을 넓혀서 좌선수행과 정토수행․주력수행․간경수행․예배수행 등 기타수행에 대한 상황을 일러주었고, 선의 교화행으로는 선이 대중에게 다가가려는 제스처로서 재가인의 수행을 비롯하여 여인의 수행과 불교 이외에 유교의 수양 및 도교의 수심 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선종혹문』을 통해서 원징은 선의 입장에서 당시에 유행하고 있는 종파 및 기타 유교와 도교 등에 대한 관점인 선관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신이 속해 있는 선종에 대한 종문인식의 자각을 통하여 선종 자체의 정체성 및 선종과 기타 교학을 비롯한 여타의 종교에 대한 입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이를 통하여 선종과 명대 말기에 번성했던 기타의 사상에 대한 교섭이 어떤 것이었는가에 대하여 엿볼 수가 있다.

    영어초록

    Under the policy of religious pluralism, the late Ming Dynasty showed active intercommunicative flow of thoughts among various religions. The harmony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flourished in this soil. Buddhism itself was not an exception of this phenomenon and enjoyed diversity in thoughts and practices. The Zen School, in particular, not only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octrinal School, but also adopted diverse methods of practice for diverse people such as women, pagans, monastics, and laity. The practice for Pure Land was also used in that school.
    This atmosphere is well reflected in Zhanran-Yuancheng(湛然圓澄)’s Chanzong-huowen(禪宗或問). Chanzong-huowen is composed of three parts and 57 items. The 57 items show questions and answers on various themes. He widened the boundary of practice through introduction of sitting meditation,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Amitabha, mantra and dharani practice, chanting, and reading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is, he tried to approach all walks of life including women, and presentedexplanation of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relation with Zen.
    On the standpoint of Zen, he first review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Zen and other Buddhist sects, Confucianism, and Taoism. He alsodemonstrat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Zen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doctrinal school and other religions.
    Chanzong-huowen shows Zhanran-Yuancheng’s effort to clarify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Zen, and at the same time, to establish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other thou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