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대 간 소통을 위한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노년 세대와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a program to share oral life stories for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 Focusing on the elderly and youth generation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1
50P 미리보기
세대 간 소통을 위한 &lt;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gt; 운영 사례 연구 - 노년 세대와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14권 / 2호 / 207 ~ 256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이 글은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이다.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은 노인 세대의 구술생애담을 통해 세대 간에 역사·문화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고 고독한 노인 세대와 주변에 무관심한 청소년 세대가 정서적 울림을 주고받는 공명을 통하여 두 세대 간의 바람직한 소통과 관계 회복에 기여하고자 개발하였다.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은 노년 세대가 한평생 살아온 인생 이야기를 청소년 세대가 경청하고 기록·정리하여 책으로 제작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별 활동은 준비-조사-정리-책 제작 4단계로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청소년 참가자들이 주도해 나가도록 구성하였다.
    1단계 준비단계는 청소년 참가자가 구술생애담 이해의 기초, 조사 방법, 질문 기술 학습과 채록 장비를 다루는 기술을 익히는 단계이다.
    2단계 조사단계는 사전조사-본조사-보강조사 3단계로 세분화된다. 사전조사는 그룹별 노년 세대 제보자와 청소년 세대 청소년 참가자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본조사는 제보자 중심으로 진행되는 단계로 제보자 스스로가 정리한 생애담을 구체적으로 구술하고, 청소년 참가자는 제보자의 구술 내용과 이야기판 현장을 꼼꼼하고 생생하게 기록하는 단계이다. 보강조사는 제보자가 소장한 사진을 활용하여 구술 내용을 보강해 나가는 단계이다.
    3단계 정리단계는 청소년 참가자가 전사 매뉴얼에 따라 윤색 없이 제보자 구술 내용 그대로 기록하고 검수를 거쳐 수정 보완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책 제작단계이다. 참가자들이 책 출판의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정리단계에서 전사한 자료를 본문 원고로 삼고, 제보자 소개글 작성, 본문 삽화 그리기, 속표지(title page) 삽화 그리기, 참가자 캐리커처(자화상) 그리기, 활동 후기 작성 활동을 수행한다.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정서적 측면, 사회적 측면, 교육적 측면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정서적 측면에서 청소년 세대는 노년 세대의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의 전 과정 참가를 통해 세대 간 활발한 정서적 교감과 소통을 이루었고,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노년 세대는 청소년 세대와의 소통으로 삶의 활력소를 얻었다고 평가하였고, 자기 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청소년 세대의 노인 세대에 관한 편견과 인식 개선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청소년 세대가 사실적 역사교육은 물론 책에서는 배울 수 없는 이전 세대가 전하는 삶의 지혜를 내면화하는 인성교육, 그리고 기록연구사(archivist), 출판 관련, 미디어 관련 직업교육까지 체득하는 여러 방면의 교육적 성과도 이루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 역시 여느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 지속적인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일회성에 그치고 마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세대 간의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후속 활동의 고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sharing oral life stories between generations. The program allows youth to shar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by listening to the elderly generation’s oral life stories. Moreover, this program is intended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enerations through the emotional resonance of the lonely elderly and the youth indifferent to the world around them.
    The program requires the youth to produce a book after listening, recording, and organizing the elderly’s life stories. The activities consist of four stages: preparation, investigation, organization, and book making. The entire program is led by youth participants.
    In the first stage, the youth participants learn about the basics of oral life stories, investigation methods, questioning techniques, and dealing with recording equipment.
    The second, investigation stage,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liminary investigation, main investigation, and supplementary investigatio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where the first meeting of the elderly informants and the youth participants occurs. The main investigation centers on the informants, with them telling their life stories. The youth participants meticulously and vividly record this oral content. Supplementary investigation is the reinforcement of the oral life stories through photos.
    Stage 3 of the organization involves the youth participants recording the oral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py manual, having it inspected, and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Stage 4 is the book making part, formed to ensure that youth participants can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book publishing. The youth participants produce a manuscript of the main text using copied data in the organization stage, and they perform activities such as writing an introduction about the informants, drawing illustrations, making a title page, and participants’ caricature, and giving a review of the activity.
    As a resul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ble to achieve the desired emotional, social, and educational goals. Regarding the emotional aspect, the youth achieved active emotional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which led to their interest in the village community. The elderly generation evaluated that they gained vitality in their liv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youth, and their self-esteem also improved. From a social perspective, it improved the youths’ prejudices and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generation. In terms of education, not only were the youth able to acquire factual history, but they also acquired personality education that internalizes the wisdom of life conveyed by previous generations that cannot be learned in books, a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to archivists, publishing, and media.
    The limitation of the program is thst no continuous follow-up activities were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It is worth considering follow-up activities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교육현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