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석조건별 담수어류의 환경 DNA 메타바코딩 효율 비교: 필터, 추출 키트, 프라이머 조합 및 PCR 방법 (Efficiency Comparison of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of Freshwater Fishes according to Filters, Extraction Kits, Primer Sets and PCR Method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9
10P 미리보기
분석조건별 담수어류의 환경 DNA 메타바코딩 효율 비교: 필터, 추출 키트, 프라이머 조합 및 PCR 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생태와 환경 / 54권 / 3호 / 199 ~ 208페이지
    · 저자명 : 김근식, 김근용, 윤주덕

    초록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s effective method with high detection sensitivity for evaluating fish biodiversity and detecting endangered fish from natural water samples. We compared the richness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and composition of freshwater fishes according to filters (cellulose nitrate filter vs. glass fiber filter), extraction kits (DNeasy2® Blood & Tissue Kit vs. DNeasy2® PowerWater Kit), primer sets (12S rDNA vs. 16S rDNA), and PCR methods (conventional PCR vs. touchdown PCR)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etabarcoding analysis of Korean freshwater fish. The glass fiber filter and DNeasy2® Blood & Tissue Kit combination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freshwater fish OTUs in both 12S and 16S rDNA. Among the four types, the primer sets on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number of OTUs in class Actinopterygii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s test, p = 0.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number of OTUs in freshwater fish. The species composition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imer sets (PERMANOVA, Pseudo-F = 6.9489, p = 0.006),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other three types. The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results revealed that species composition clustered together according to primer sets based on similarity of 65%; 16S rDNA primer set was mainly attributed to endangered species such as Microphysogobio koreensis and Pseudogobio brevicorpus. In contrast, the 12S rDNA primer set was mainly attributed to common species such as Zacco platypus and Coreoperca herzi.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on species diversity analysis using metabarcoding for environmental water samples obtained from rivers in Korea.

    영어초록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s effective method with high detection sensitivity for evaluating fish biodiversity and detecting endangered fish from natural water samples. We compared the richness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and composition of freshwater fishes according to filters (cellulose nitrate filter vs. glass fiber filter), extraction kits (DNeasy2® Blood & Tissue Kit vs. DNeasy2® PowerWater Kit), primer sets (12S rDNA vs. 16S rDNA), and PCR methods (conventional PCR vs. touchdown PCR)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etabarcoding analysis of Korean freshwater fish. The glass fiber filter and DNeasy2® Blood & Tissue Kit combination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freshwater fish OTUs in both 12S and 16S rDNA. Among the four types, the primer sets on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number of OTUs in class Actinopterygii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s test, p = 0.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number of OTUs in freshwater fish. The species composition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imer sets (PERMANOVA, Pseudo-F = 6.9489, p = 0.006),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other three types. The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results revealed that species composition clustered together according to primer sets based on similarity of 65%; 16S rDNA primer set was mainly attributed to endangered species such as Microphysogobio koreensis and Pseudogobio brevicorpus. In contrast, the 12S rDNA primer set was mainly attributed to common species such as Zacco platypus and Coreoperca herzi.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on species diversity analysis using metabarcoding for environmental water samples obtained from river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태와 환경”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