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별서 명승 김천 방초정(芳草亭)과 최씨담(崔氏潭)의 입지 및 조영 특성 (Geographic Conditions and Garden Designs of Byeol - seo Scenic Site of Gimcheon Bangcho - Pavilion and Mrs Choi's Pond)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3
12P 미리보기
별서 명승 김천 방초정(芳草亭)과 최씨담(崔氏潭)의 입지 및 조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4권 / 1호 / 71 ~ 82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이현우

    초록

    문헌고찰과 현지조사를 통해 김천 방초정의 입지, 누정과 지당의 조형성 그리고 누정제영시의 경관의미 등 정원의장적 특질을추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초정이 입지한 원터마을은 금잠낙지형(金簪落地形) 또는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의 풍수형국으로, 방초정은 소통과 교유문화의 거점공간으로 자리 잡아 왔다. 연안이씨(延安李氏)의 본제(本第) 정양공종택(靖襄公宗宅)과 약 150m 이격된 누정형 별서방초정의 당호 ‘방초’에는 “향긋한 풀이 무성한, 앵무가 사는 곳을 희구하겠다”라는 군자(君子)의 지조가 새겨져 있다.
    둘째, 중앙 온돌방에 사방분합문을 달고 마루를 가설한 누각형 구조의 방초정은 열린 경관을 추구한 적극적 조망의지 뿐 아니라「가례증해(家禮增解)」 간행 등 공적 용도의 공간성 또한 주목된다.
    셋째, ‘최씨담(崔氏潭)’은 현존하는 국내 지당 중 전형적 ‘방지쌍원도(方池雙圓島)’를 갖는 유일한 정원유구로, 지당 내 공존하는두 개의 섬은 주종(主從) 간의 의리와 부부애를 형상화한 정원시설일 뿐 아니라, 3개소의 입수구와 남천으로 향한 1개의출수구는 저류 및 생태적 재처리 등 마을방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적합화된 정원의장이다.
    넷째, 「방초정8영(芳草亭八詠)」과 이를 확대 재생산한 「방초정10경(芳草亭十景)」에서는 방초정을 중심으로 김천과 구성면의 자연및 취락의 목가적 전원경(田園景)이 적극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방초정 집경시는 사계사시(四季四時)와 기상현상 및 팔방(八方) 을 고려한 경물포치를 통해 방초정과 원터마을을 소우주의 중심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는 지역의 거점 문화공간으로서 방초정별서명승에 대한 경관인식의 현현(顯現)이다.

    영어초록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on-site survey of Gimcheon Bangcho pavilion(芳草亭), the features of garden design(庭園意匠) including geographic conditions, landscape modeling of Nujeong(樓亭) and Jidang(池塘, Pond), and scenic interpretations in Nujeong Jeiyoung poetry(樓亭題詠詩) have been carefully researched and the findings are presented below.
    Bangcho pavilion is located in a village called Wonteomaeul, which belongs to the feng shui state of golden hairpin and floating lotus. It has long been the cultural hub of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the villagers. The Head House of Jeongyanggong(靖襄公宗宅), the main house(本第) of the Yeonan Yi Clan(延安李氏), is about 150m away from Bangcho pavilion, an artistic space whose landscape modeling is of the form called Nujeong. The name ‘Bangcho' reflects the noble man(君子)'s determination: “I yearn for the place where honey parrots fly and the fragrant grass grow.” From the two story structure of the pavilion where there is an additional floor installed to the central ondol room by a four-sided subdivision door, one can detect the aspiration of the men for pursuing an open view. One can also observe the efforts in designing the room to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from a private place to an office for periodic publication of a family lineage document called Garyejunghae(家禮增解) . Bangcho pavilion's main sight of interest is Mrs Choi's Pond(崔氏潭), the one and only garden structure that comprises the twin round island of square pond(方池雙圓島) among the existing Jidangs in Korea. In this special Jidang, there are two coexisting islands that represent a well thought out garden facility for symbolizing conjugal affection and unyielding fidelity between master and servent(主從). In addition, the three inflows and one outflow facing the Ramcheon valley is regarded as an ideal garden design optimized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village bangjuk which is the site for undercurrent creation and ecological reprocessing. At present, Giant pussy willow is the only circular vegetation identified in the area of Bangcho pavilion, although this plant species is about to wither away judging from the signs of decrepitude that seems to persist for two out of three weeks. The old pine tree that appears in the 1872 Jeiyoung poetry of Byeongseon Song(宋秉璿) no longer exists.
    Anjae(安齋) Jang Yoo(張瑠)'s 「Eight Scenary on Bangcho pavilion(芳草亭八詠)」 and its expansive reproduction 「Ten Scenary on Bangcho pavilion(芳草亭十景)」 from Gwagang(守岡) Lee Manyoung(李晩永) depict vividly the pastoric scenery of an idyll(田園景) that stretches throughout th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province of Gimcheon and Guseong surrounding the Bangcho pavilion. The Bangcho pavilion sutra aims to establish Bangcho pavilion and the village of Wonteomaeul as the centre of microcosmos by dividing and allocating its scenic features according to the four seasons and times(四季四時), the eight courses(八方) and the meteorological phenomena, and it is the incarnation(顯現) of landscape perception upon the Byeol-seo Scenic site of Bangcho pavilion, the cultural hub of the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