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측의 육성취(六成就) 이해(Ⅰ)- 경전 교설의 정통성은 어떻게 담보되는가? - (A Study of Won-chk's Understanding of the Six Accomplishments (I): How is the Orthodoxy of the Sūtra Teachings Ensure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4
32P 미리보기
원측의 육성취(六成就) 이해(Ⅰ)- 경전 교설의 정통성은 어떻게 담보되는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2호 / 121 ~ 152페이지
    · 저자명 : 조윤호

    초록

    원측의 『해심밀경소』 「서품」은 육성취와 관련하여 동아시아불교권의 경전 해석사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상세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육성취에 대한 원측의 해석을 검토하여 경전 교설의 정통성 확보 문제에 대한 이해의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해심밀경소』 「서품」의 전반부, 즉 “如是, 我聞, 一時, 薄伽梵” 구절에 대응하는 ①신성취, ②문성취, ③시성취, ④주성취에 해당한다.
    원측에 의하면 육성취에서 ①신성취는 ‘如是’의 의미와 관련하여 검토되며, 그는 인도와 중국에서 교설의 정통성 및 진실성에 대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언표로서 다양한 맥락적 의미가 설정되어 해석되고 있었음을 확인한다. ②문성취는 ‘我聞’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에 의하면 ‘我聞’은 ‘전법 보살과 아난 등이 오온의 몸에 我를 가립하여 그들의 이근에 식이 발생해 설법을 들은 것’이며, 이것을 호법·현장·친광 등의 유식교학적 이해에 따라 엄밀히 정의하면 ‘여래의 식에 발생한 언어적 표상이 아난의 식에 유사하게 전변하여 현현한 것에 대한 진술’이 된다.
    ③시성취는 ‘一時’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은 먼저 길장을 비롯해 보리유지·장이·진제 등에 주목하여 그 해석학적 의미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그는 대표적으로 진제가 열 가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처럼 ‘一時’는 단순한 물리적 층위를 넘어 여래의 출세에서부터 불법의 전승·수행·공덕 등에 걸친 불법의 시작과 끝이라는 전반적 상황과 관련하여 그 의미가 확장되어 해석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더불어 원측은 유부·중관·유식교학의 시간관을 검토하여, 유부에서 시간은 유위법들의 삼세에 걸친 변화 양태에 의거해 가립된 개념이며, 중관교학에서는 본체가 없는 것으로 규정되며, 유식교학에서는 유위법 상의 분위에 가립된 것임을 확인한다.
    ④주성취는 ‘佛’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은 한역 경전들에 보이는 설법 주체의 불일치 상황으로 인해 제기될 수 있는 불법의 권위 및 정통성 문제에 대해, 서역의 원전이나 원어 층위에서는 문제가 없으며 단지 번역 과정에서의 문제임을 확인한다.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육성취와 관련한 원측의 논의 방식 및 이해 내용에 보이는 특징들을 확인하는 것에 논의를 한정하였다. 다만 원측의 논의와 이해 과정에는 당시의 대표적 이해 방식들이 전체적으로 포괄되어 있다는 점에서 8세기 이전 중국에서 육성취에 대한 논의와 이해 방식은 그의 작업에 의해 일단의 완결을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원측 이후의 육성취 논의 및 이해와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겠으나 현재로서는 주목할 만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원측의 활동기를 전후해 중국불교계는 불전의 한역과 연구 등 불교의 수용과 이해 방식 정립 등에 대한 관심이 정점에 달하던 시기이며, 이후 육성취 자체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볼 때 원측의 작업과 성과는 동아시아불교권에서 불전의 정통성 문제와 관련한 가장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Won-chk's(圓測)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解深密經疏) discusses the Six Accomplishments in such detai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in the history of scriptural interpretation in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examines Won-chk's interpretation of the Six Accomplishments, examining how he understands the issue of securing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thus(如是)’ relates to the fulfillment of faith(信成就), which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contextual contexts as a direct statement of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in India and China.
    According to Won-chk, ‘what I heard(我聞)’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listening(聞成就), and its meaning is 'Bodhisattvas, Ananda, etc. set ātman in their bodies made of panca khandha(五蘊), so that they can hear in their ears. The ability to hear was developed, and the ears heard the teachings. Also, if the meaning of thi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Yogācāra School, it becomes ‘a statement about what appears in Ananda’s perception when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that occurred in the Buddha’s perception changes similarly.’ According to Won-chk, ‘onetime(一時)’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time(時成就), and its meaning goes beyond the physical level. In other words, it is related to the overall situation from the appearance of Tathagata in the world to the beginning and end of Buddhist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Buddha(佛)’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stay(住時就), and the discrepancy in the name of the preacher that appears in Chinese Buddhist sutras is not a problem in the Indian original text or at the original language level. It is a problem that arose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orthodoxy of the doctr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