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과 서사구연방식 (A Study on the Memory of the Deficiency and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n Oral Life Stori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6
37P 미리보기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과 서사구연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4호 / 317 ~ 353페이지
    · 저자명 : 한서희

    초록

    본고는 구술 생애담에서 결핍의 기억이 구술자의 서사구연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생애담 속 결핍의 구체적 양상과 그것을 통해 형성된 생애담의 서사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1928년에 전북 고창의 죽도라는 작은 섬에서 삼대독자로 태어난 안성만은 병역을 기피하게 되면서 굴곡진 삶을 살게 되었다. 그의 생애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결핍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학교교육의 부재’와 ‘군 기피자’로서의 삶, 그리고 그로 인해 겪어야했던 ‘가난’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의 결핍을 통해 이루어진 안성만의 생애담은 ‘고난–고난의 극복’이라는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고, 이 서사구조는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구술 생애담의 일반적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꾼의 경험이 그의 이야기 목록에 영향을 미치듯이, 생애담 구연자의 지난 삶의 경험은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안성만의 생애담에서 특징적인 서사구연방식으로는 먼저 고난의 상황에 대한 구체적 묘사를 들 수 있다. 특히 군 기피자로 숨어 살다가 군경에게 잡히던 순간의 구연은 상당히 구체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듣는 이로 하여금 긴박감과 현장감을 함께 느끼게 해주고 있다. 또한 그렇게 살아야만 했던 자신의 심경에 대한 묘사 역시 ‘풍상에 노그라진 어머니의 마포치마’에 비유하는 등 문학적 형상화에 노력하고 있는 모습도 서사구연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안성만 생애담의 두 번째 서사구연방식의 특징은 반복적 구연을 통해 아쉬움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두 번째 특징은 군 기피자라는 결핍이 만들어낸 서사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내 호가 나이롱 기피자여.”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구연함으로써 군 기피자라는 자신의 부끄러운 과거와 그것을 자신의 의지가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해결해야만 했던 아쉬움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성만 생애담을 통해 드러난 세 번째 서사구연방식의 특징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통한 자기애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안성만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끝날 쯤에는 늘 자기 자신에 대한 인정과 신뢰를 드러내는 구연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결핍으로 인한 고난의 상황을 자기의 노력과 의지로 극복한 이가 가질 수 있는 여유일 것이며, 이러한 구연방식을 통해 안성만이 자기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에서 보이는 특징은 구연자의 지난 삶의 지문과 같다. 따라서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을 통해 드러나는 삶에 대한 인식과 스스로에 대한 판단 등은 적어도 그 자신에게 있어서는 진실일 수밖에 없다. 생애담의 서사구연방식은 연습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무의식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기에, 앞으로도 생애담을 통한 인간이해의 심화를 위해서도 서사구연방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memory of deficiency on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n The Oral Life Story.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pattern of deficiency in the life story and the narrative structure. His deficiency in his life st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se are the ‘absence of school education’, life as a ‘military evasion’, and the ‘poverty’ they had to endur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hn Seong-man's life story, which was made through these three deficiencies,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hardship - overcoming hardship’, and that this narrative structure follows the general narrative structure of oral life stories.
    The narrator's past life experiences affect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of life storie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of expression i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fficul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moment when he was caught by the police while hiding as a ‘military evasion’ is described very specifically, giving the listener a sense of urgency and presenc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he is forming a literary figure by describing in detail his feelings about his life, which he had to live like that.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 of regret through repeated narratives. This characteristic is more prominent in the narrative created by the deficiency of a ‘military avoider’, and by repeating the expression ‘My nickname is a false-military evasion’, he expresses the emotion of regret for his shameful past.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is the expression of self-love through positive expressions. At the end of a story about a topic, Ahn Seong-man always takes a narrative style that reveals his acceptance and trust in himself, which is an opportunity that can be afforded to those who have overcome hardship due to lack through their own effor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of the life story are the same as the fingerprints of the speaker's past life. Therefore, the perception of life and judgment about oneself, which are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s way expression of the life story, must be true, at least for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